대구 동구 중대동 7
창건시대는 문헌 기록이 없어 잘 알 수 없으나, 1976년 중창되고 1979년 보수되었다.
화강석 외벌대 기단 위에 건립된 정면 1간 측면 1간 규모의 겹처마에 박공지붕집이며, 구조양식은 화강석 정평초석 위에 원주(圓柱)를 세우고, 주상(柱上)에 주두(柱頭)와 함게 앙서와 봉두(鳳頭)를 장식한 초익공(初翼工) 양식이다. 3량가(樑架)로 구성된 지붕 하부구조는 우물천장으로 가려져 있고, 건물 내외부에는 금단청(錦丹靑)을 올렸다.
이 건물은 익공계(翼工系) 건축으로 조선 후기에 발달한 번잡한 장식수법을 보여주는 좋은 예가 된다.
창건시대는 문헌 기록이 없어 잘 알 수 없으나, 1976년 중창되고 1979년 보수되었다.
화강석 외벌대 기단 위에 건립된 정면 1간 측면 1간 규모의 겹처마에 박공지붕집이며, 구조양식은 화강석 정평초석 위에 원주(圓柱)를 세우고, 주상(柱上)에 주두(柱頭)와 함게 앙서와 봉두(鳳頭)를 장식한 초익공(初翼工) 양식이다. 3량가(樑架)로 구성된 지붕 하부구조는 우물천장으로 가려져 있고, 건물 내외부에는 금단청(錦丹靑)을 올렸다.
이 건물은 익공계(翼工系) 건축으로 조선 후기에 발달한 번잡한 장식수법을 보여주는 좋은 예가 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