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 - 익살스러운 표정의 조선시대 마애불

by 넥스루비 2007. 8. 7.

선운사 도솔암 왼편 칠송대(七松臺)라고 불리는 암벽에 새겨진 조선시대의 마애불상. 전체 높이 13m, 폭 3m.

백제의 위덕왕이 검단선사에게 부탁하여 암벽에 불상을 조각하고 그 위 암벽 꼭대기에 동불암이라는 공중누각을 짖게 하였다는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이 불상은 낮은 부조(浮彫)로 된 장대한 크기의 마애불상으로서 결가부좌(結跏趺坐)한 자세로 연화대좌 위에 앉아 있다.

뾰족한 육계가 표현된 머리는 육계와 머리의 구별이 불분명하며, 이마에 백호(白毫)가 있는 네모진 얼굴은 다소 딱딱하지만 눈꼬리가 치켜 올라간 가느다란 눈과 우뚝솟은 코, 앞으로 쑥 내민듯한 두툼한 입술 등으로 인하여 익살스러운 표정을 짓고 있다.

두 귀는 어깨에 닿을 정도로 길게 늘어져 있으나 사실감이 없고 목은 머리와 몸체가 거의 맞붙어 드러나지 않으나 가느다란 선으로만된 삼도(三道)가 표현되어 있다.

좁아진 평평한 어깨에 걸쳐입은 통견(通肩)의 법의는 옷주름선이 선각으로 형식화되어 있으며 입체감이 결여된 평판적인 가슴, 아래로는 선명하면서도 단정한 군의(郡衣)의 띠매듭이 가로질러 새겨져 있다. 다섯 손가락을 활짝 펼쳐 아랫배에서 서로 맞대고 있는 큼직한 두 손은 사실성이 떨어지고 두 발 또한 손과 마찬가지로 크게 조각하였다.

광배는 표현하지 않았으나 머리 위를 비롯한 이 불상의 주위에는 수많은 네모구멍이 패어있어 이 불상 앞에 전실(前室)을 마련하였던 목조전실(木造前室)의 가구(架構) 흔적으로서 마애석굴을 모방한 것이 틀림없다.
(공중누각을 지어 공중감실처럼 꾸몄던 것이 인조 26년(1648) 건물은 내려앉고 가구를 결구했던 구멍만 남았다고 전한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