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등반
- 축제행사.4월
- 휴가
- 등산
- 축제행사.7월
- 축제행사.9월
- 축제행사.강원도
- 축제행사.경기도
- 축제행사.1월
- 제주도
- 축제행사.12월
- 주말산행
- 축제행사.서울
- 명산
- 바다
- 여름휴가
- 가을축제
- 산행
- 피서
- 겨울축제
- 여름체험
- 주말여행
- 피서철
- 축제행사
- 여름축제
- 여름철
- 축제행사.10월
- 봄축제
- 해변
- 산
- Today
- 35
- Total
- 3,953,012
목록오죽헌 (4)
국내여행 Travel
오죽헌은 강릉시에서 북으로 4Km 떨어진 경포대의 이웃에 오죽(검은 대나무)으로 둘러싸여 있는 곳이다. 오죽헌이란 명칭은 집주위에 오죽이 많아 권처균의 아호를 오죽헌이라 부른데서 비롯된 것으로 한국이 낳은 위대한 학자이며 정치가인 율곡 이이 선생이 태어난 곳으로서 집안에는 율곡기념관, 문성사, 자경문, 사주문 등과 율곡의 어머니 신사임당의 글씨와 그림,그리고 율곡선생과 그 일가의 유품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강릉시 향토사료관은 강릉지역의 선사시대유물부터 시대별각종 사료들이 소장되어 있어 강릉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1788년에는 율곡선생의 친필 격몽요결과 벼루를 보관하는 어제각을 건립하였으며. 1961년 11월 제1회 율곡제전을 시작으로 그 이후 매년 10월에 봉행하고 있다. 오죽헌은 1963년 보물..
경포호는 강릉지방뿐 아니라 국민적 사랑과 동경을 받아온 명승지다. 경치가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경포호 주변에는 여러 선사시대 문화유적지가 여러 곳 있어 고대인의 발자취를 느끼게 한다. 경포호 일대는 겨울철새 고니, 청둥오리, 학, 물오리 등이 찾는 철새도래지이다. 은은하게 빛나는 호수, 한적한 겨울 바다의 정취를 동시에 느낄 수 있다. 자연과 전통 문화가 알맞게 조화를 이루는 곳이 경포호다. 사철 어느 때 와도 색다른 맛이 느껴진다. 오죽헌 시립박물관, 선교장, 해운정, 홍장암 등이 있다. 경포호 : 은은하게 빛나는 호수, 한적한 겨울 바다 정취선교장 : 주위 경관 수려한 아흔아홉 칸 집해운정 : 전망 아름다운 심언광의 별당오죽헌 시립박물관 : 오죽헌과 통합된 강릉 시립박물관경포해수욕장 : 경포호수, 경..
강원 강릉시 죽헌동 201번지 강릉시립박물관은 1992년 11월 15일 지상1층, 지하1층의 향토민속관으로 개관, 1997년 10월 26일 역사문화관을 건립하고, 98년 1월 17일에 오죽헌과 통합되어 요즘은 오죽헌 시립박물관이란 이름으로 통하고 있다. 문성사, 몽룡실, 고택(사랑채,안채), 어제각, 율곡기념관, 자경문, 역사문화관, 향토민속관 등이 주요시설. 영동지방과 관련된 유물들을 주로 다루는데, 총 3,543점의 유물(도자기 토기류 782점, 금속류 352점, 옥석류 143점, 뼈 조개류 18점, 가죽 직물 종이류 562점, 목조 칠기류 502점, 서화류 1,164점, 기타 20점)을 보관하고 있다. 본관 제1전시실에는 선사유물, 불교미술품, 도자기류, 전적 서화류, 명안공주관련유물, 강릉지역과 ..
강원 강릉시 죽헌동 오죽헌 내 10월25일부터 10월26일까지 2일간 오죽헌에서 첫째날(서제)과 둘째날(제례행사와 추모행사,문예행사,경축행사)로 나누어 치루어지는 행사이다. 조선 중기의 큰 학자인 "율곡"이이의 학문적 업적과 백성에게 폐해를 끼치는 낡은 제도를 바꾸고 당파싸움을 없애며 국가의 기강을 바로잡고 국력을 키우기 위하여 노력하였던 그 정신을 기리고 이어가고자 해마다 율곡이 태어나 10월에 오죽헌에서 대현 이율곡선생제전을 제전위원회에서 행하고 있다. -제례행사와 추모행사 : 율곡학 국제학술강연회, 유품전시 -문예행사 : 한시 백일장, 학술논문공모, 격몽요결독후감 쓰기, 백일장, 사생대회, 휘호대회, 수학경시대회 -경축행사 : 서예전시, 주부작품 전시, 궁도대회, 수석전시회, 태권도대회, 테니스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