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동관음보살입상 - 통일신라시대 불상조각(佛像彫刻)의 극치

by 넥스루비 2007. 8. 7.
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 호암미술관

이 불상< 佛像 >은 통일신라시대< 統一新羅時代 >(8세기)에 제작< 製作 >된 불상< 佛像 >으로서 광배< 光背 >와 대좌< 臺座 >는 잃었지만 도금색< 鍍金色 >이 찬연하고 제작수법< 製作手法 > 또한 우수< 優秀 >한 보살상< 菩薩像 >이다. 머리에는 화형< 化形 >의 높은 삼면보관< 三面寶冠 >을 썼는데 보관< 寶冠 >의 정면< 正面 >에는 화불일구< 化佛一軀 >가 부조< 浮彫 >되어 있다.
이 화불< 化佛 >은 연화대좌< 蓮花臺座 > 위에 앉은 좌상< 坐像 >으로서 두광< 頭光 >과 신광< 身光 >까지 갖추고 있다. 얼굴에 약간의 손상이 있으나 지그시 감은 듯한 눈은 양단< 兩端 >이 위로 치켜져 근엄함을 나타내고 있으나 풍만하면서도 선명한 이목구비< 耳目口鼻 >의 표현< 表現 >과 함께 입가의 고졸한 미소는 조용한 가운데 자비가 넘치고 있다. 귀는 어깨 위에까지 길게 드리워져 있으며, 목에는 삼도< 三道 >가 선명하게 나타나 있다.
상체< 上體 >는 나형< 裸形 >으로서 가는 허리는 가슴의 풍만함을 돋보이게 하는데 어깨에서부터 늘어뜨린 2조< 條 >의 목걸이는(경식< 頸飾 >) 가슴을 덮고 있으며, 상단< 上段 >의 목걸이에는 5조< 條 >의 수식< 垂飾 >이 드리워져 있다. 또한 좌측< 左側 > 어깨에서부터 좌측< 左側 > 발까지 드리워진 1조< 條 >와, 양< 兩 > 어깨에서부터 드리워져 복부중앙< 腹部中央 >에서 교차되는 영락< 瓔珞 >의 장신구는 한층 이 보살입상< 菩薩立像 >의 화려함을 돋보이게 하고 있다.
양 어깨에서부터 늘어진 천의< 天衣 >가 존신< 尊身 >의 양 옆에 물결처럼 드리워져 있음은 섬세한 군의< 裙衣 >의 옷주름의 표현과 장신구등과 함께 조화의 극치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팔찌(완훈< 腕訓 >)를 한 양손 중 오른손은 어깨까지 들었고, 왼손은 늘어뜨려서 정병< 淨甁 >을 잡고 있는데 팔목은 안으로 구부리고 있다.
이 보살상< 菩薩像 >의 후면< 後面 >에는 특별한 조각의 흔적은 없으나 광배< 光背 >를 부착했던 흔적이 남아 있다. 허리를 한쪽으로 튼 삼굴< 三屈 > 자세의 육감적 표현이나, 목의 삼도< 三道 >, 화려하고 섬세한 장신구나 군의< 裙衣 >를 표현하고 있는 점 등은 통일신라시대< 統一新羅時代 >의 불상양식< 佛像樣式 >을 엿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당대 불상조각< 佛像彫刻 >의 극치라 할 수 있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