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쇼핑/장터 (13)
국내여행 Travel
- 장터: 동문시장 제주시 중앙로와 동문로타리 시네하우스극장 사이에 있다. 제주시에서 가장 오랜 전통을 지닌 시장이다. 표고버섯과 과일류 등의 특산물 판매점과 제주의 대표적인 생선으로 꼽히는 옥돔을 비롯해서 전복, 소라 ,갈치, 농어, 나리 등이 거래된다. 특히 이곳의 어시장에서는 적은 돈으로 푸짐하고 싱싱한 생선회를 맛볼 수 있다.
- 장터: 진천장 - Address: 충북 진천군 진천읍 진천장은 진천대교를 건나 백곡천 고수부지 주변과 진천시장 동쪽 공터에 열린다. 여느 시골장터와 마찬가지로 손수 캔 나물들이 좌판에 늘어 있다. 봄철에는 냉이, 씀바귀 등이 많다. 메주, 고추, 잡곡, 과일, 마늘과 잡화 등 온갖 것이 다 있다. 충청도 특산물인 다슬기가 저녁 시장기를 돋운다. 장터를 돌다 배가 고프면 순대국밥집을 들러라. 한 그릇 하고 나면 한 바퀴 더 돌도 싶을 것이다. [승용차] ● 중부고속도로 진천IC ⇒ 진천방면 21번 국도(2.5km) ⇒ 진천 [대중교통] ● 서울 남부터미널 : 진천행(15분 간격, 2시간 소요) 동서울(구의동)터미날 : 진천행(1시간 간격, 1시간 30분 소요) ⇒ 진천시외버스터미널 하차 ⇒ 걸어서 5분
- 장터: 동울산시장 - Address: 울산 동구 전하3동 661-1 동구에 위치하고 있는 재래시장 중 가장 큰 규모로 다양한 품목과 저렴한 가격은 물론 대형할인매장, 교육시설, 생활의 필수라 할수 있을 만큼의 대중문화를 만끽할 수 있습니다. 지하1층 : 아람마트(대형할인매장) 지상1층 : 건강원, 흑염소, 식육점, 반찬, 떡, 방앗간, 횟집, 분식 및 식당, 할인마트(슈퍼), 신발, 한복, 수선, 건어물, 어패류, 생선, 어묵, 채소, 과일, 열쇠 지상2층 : 약국, 식당, 숙녀복, 아동복, 란제리, 가방, 악세사리, 수입품, 꽃집, 카펫트, 대자리, 세탁소, 수선전문점, 생활도자기, 한복, 커텐, 이불(홈패션), 화장품, 생활가구, 유리, 전기전자 A/S, 주방용품 지상3층 : 한식뷔페, 유아유치부..
'한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장에 가보라'는 말이 있듯이 부산의 국제시장은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부산의 명소이다. 가방, 안경, 문구류, 포목, 양단, 침구류, 공예품, 주방기구 등 온갖 물품들이 다양한 사람들을 맞을 준비를 하는 곳. 이곳이 국제시장이다. 국제시장을 제대로 둘러보려면 족히 2시간 이상은 소비된다. 그러나 중간 중간에 각종 먹거리 노점들이 즐비하게 있어 쇼핑과 먹거리를 동시에 저렴하게 해결할 수 있다. 각종 물품들이 시중가에 비해 약 15~20% 정도 싸게 거래되고 있지만 정찰제를 시행하지 않은 곳도 있기 때문에 여러 상점을 비교 방문하여 구매하는 것이 좋다. 부산국제영화제로 인해 유명해진 BIFF광장과는 도보로 5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부산을 방문하면 꼭 한 번 둘러보라고 ..
서울 중구 남창동 49 서울 경제의 흐름을 알 수 있는 국내 최대, 최고의 재래시장. 서울 사람들에게는 장바구니 물가를 가늠하는 장소이며 서울을 찾는 사람들에게는 쇼핑 관광코스로 잘 알려진 곳이다. 아동의류, 남성의류, 여성의류를 비롯하여 각종 섬유제품과 일용잡화,주방용품의 공산품,민속공예와 토산품 및 장신구, 그리고 수입상품, 식품잡화, 농수산물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모든 상품을 취급한다. 전국의 소매상과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는 유통구조의 도소매기능을 겸비하였고 다양한 품목을 취급하는 국내 최고 최대의 종합시장이다각 점포에서 대부분의 상품을 직접 생산한다. 오후 11시부터 문을 열기 시작, 새벽 3시면 전국의 소매상(중간 도매상)들이 성시를 이룬다. 한국인의 부지런함을 보여주는 이색적인 풍..
- 장터: 통영 중앙시장 - Address: 경남 통영시 중앙동 중앙시장은 주위에 남망산공원과 놀이마당과 통영만에 인접해 있어서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주로 멀리 있는 섬 등지에서 어부들이 잡은 싱싱한 고기들을 노점에서 파는데, 특색 있는 자연산 고기들이 많다. 가두리의 양식 고기들은 바로 양식장에서 물차에 실려서 외지로 팔려가기 때문에 이곳에서 어부들이 파는 볼락,농어,감성돔 등은 자연산 들이다. 그러나 중앙시장에서 목 좋은 자리에는 고기를 떼다가 파는 전문 상인들이 많이 있으므로 잘 선택하여 사시기 바란다. 분위기가 그리 중요하지 않다면 시장 안에 있는 작은 횟집들에서 간단한 매운탕과 쫄깃한 자연산회를 맛 볼 수도 있는데 저렴하면서도 회 맛이 좋아서 많은 사람들이 추천 하고 있다. 특히 시장 ..
- 장터: 장사장 - Address: 경북 영덕군 남정면 장사리 356 장사해수욕장과 연접하여 있으며 바다에서 나는 싱싱한 각종 해산물을 값싸게 구입할 수 있다. [승용차] ▶ 7번국도 -> 남정면소재지 -> 버스터미널 옆에 위치
- 장터: 유성 5일장 - Address: 대전 유성구 장대동 유성농협 부근 유성 5일장은 1916년 10월 15일 최초 개장된 이래 장대동 191번지 장옥을 중심으로 매 4일,9일 성시를 이루는 전통 풍물장으로써 지금은 농산물 직거래장터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구즉 묵마을 도토리, 메밀묵은 고혈압, 당뇨, 비만예방에 효능이 있으며, 학하리 고구마, 세동상추는 물론 유성배가 전국에서도 맛이 좋기로 유명하답니다. *개장 : 매 4일,9일 오전 7시~오후 7시 *주차여부 : 무료 하상 주차장 [대중교통] *시내버스 110, 112, 140, 180번 이용 가능 *좌석버스 101, 104, 705번 이용 가능
- 장터: 언양장날 - Address: 울산 울주군 언양읍 남부리 전통재래시장으로 장날에는 인근 양산, 기장, 경주등에서 많은 상인이 모여들며 특히 이 지역의 특산물인 언양미나리 비롯하여 지역 농산물이 거래되고 또한 전국적으로 유명한 언양, 봉계 불고기 업소가 많이 분포되어 있어 언양불고기의 맛을 음미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으며, 인근에 국보 147호인 천전리 각석을 비롯 많은 문화재가 산재되어 있다. 장은 5일장이며, 2일과 7일로 끝나는 날 이루어진다. [대중교통] 울산공항에서 [19, 24, 124, 126]번을 타고 [공업탑]에서 하차하여 [313, 513, 515, 305, 314, 317, 516]번을 타고 [언양]에서 하차 울산역에서 [313, 305, 314, 317]번을 타고 [언양]에서..
- 장터: 신정시장 - Address: 울산 남구 신정1동 630-1 신정시장은 울산시청에서 도보로 5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버스노선이 많아 교통이 편리하고, 주위에 금융기관 및 관공서가 밀집해 있어 이동 인구가 많은 곳이다. 도라지, 취나물, 고사리등 산나물과 고등어, 갈치, 오징어 등의 해산물전, 이불, 한복 등의 포목전, 옷전, 신발전, 그릇전, 잡화전, 청과물전, 채소전, 곡물전, 약초전 등 온갖 물품들이 가득하다. [대중교통] 울산공항에서 [24, 24-1, 47, 124, 125, 24-2, 46, 26]번을 타고 [신정시장앞]에서 하차 울산역에서 [315, 318, 319, 305]번을 타고 [신정시장앞]에서 하차 고속.시외버스터미널에서 [5, 5-1, 8, 17-1, 23, 37, 47..
- 장터: 국제시장 - Address: 부산 중구 신창동4가 83번지 중구 신창동 4가 83번지 일대에 있는 부산 최대 재래시장의 하나. 건평 3,468.2평, 대지 2,177.2평의 지상 2층의 규모이다. 1공구는 가방, 문구, 공예품, 2공구는 주방기구, 칠기, 안경점, 3공구는 침구류, 양품점, 4공구는 포목, 주단, 양단, 주방기구, 5, 6공구는 가전제품, 기계공구, 포목점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방구, 주방기구, 기계공구의 의류, 전기전자류 등이 주종을 이루는 도소매업 시장이다. 최근들어 다른 재래시장과 마찬가지로 점차 노후화되고 쇠퇴해 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부산의 상권이 서면, 서면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권이 다소 침체되었으나 여전히 부산 시장의 상징적인 존재로 남아 있다. 최근에는..
- 장터: 부산진시장 - Address: 부산 동구 범일동 290 부산진시장은 동구 범일동 290번지에 위치한 부산최대 재래시장의 하나로 이곳에 조선시대 때 부산진(釜山鎭)이 있었다 하여 시장 이름을 부산진시장이라 하였다. 영조 46년(1770년)에 편찬된 『동국문헌비고』에 보면, "부산진성 서문밖에 4일, 9일장의 정기시장인 부산장이 있었다"고 했다. 부산장은 읍내장(2, 7일), 좌수영장(5, 10일 또는 3, 8일), 독지장(1, 6일), 하단장(5, 10일)과 함께 부산지역의 5일장 체계를 이루고 있었다. 개항기 이후에는 일본인 거류지역과는 달리 초량과 부산진은 한국인들이 다수 거주하였다. 이들은 일본인들과는 달리 전통적인 장시(場市)에 의존하고 있었다. 1914년 9월 부산부가 부산장 서쪽 구 ..
- 장터: 구포시장 - Address: 부산 북구 구포동 589번지 구포시장은 구포1동 589번지에 소재하고 있는 재래시장이다. 1972년 무렵 『사단법인 구포시장번영회』를 발족하면서 만들어진 상설시장이다. A, B 2개 공구를 만들어, 생선을 취급하는 선어구와 곡물구로 나누었다. 1층 콘크리트 건물로 되어 있는 시장의 규모는 선어구가 231평, 곡물구가 186평 정도이다. 점포수는 100여개이나 재래시장의 사양화에 따라 1997년 3월 현재 영업을 하는 가게는 30개 정도이고, 나머지는 창고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설시장에 등록된 정회원의 수는 59명이다. 구포시장은 이러한 상설시장보다는 5일장의 명성이 더 높다. 매달 3일과 8일에 열리는 장날이 되면, 노점상이 늘어나면서 시장이 주변 지역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