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등반
- 축제행사.4월
- 휴가
- 등산
- 축제행사.7월
- 축제행사.9월
- 축제행사.강원도
- 축제행사.경기도
- 축제행사.1월
- 제주도
- 축제행사.12월
- 주말산행
- 축제행사.서울
- 명산
- 바다
- 여름휴가
- 가을축제
- 산행
- 피서
- 겨울축제
- 여름체험
- 주말여행
- 피서철
- 축제행사
- 여름축제
- 여름철
- 축제행사.10월
- 봄축제
- 해변
- 산
- Today
- 38
- Total
- 3,953,015
목록문화ㆍ행사/전시장 (42)
국내여행 Travel
부산전통예술관은 부산에 있는 기능분야 국가 무형문화재 및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의 보존과 전승 및 전통예술 활성화를 위하여 지상 3층 규모의 예술관을 건립하여 2019년 4월 18일 개관하였다.국가 및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기능분야 11종목(국가1, 부산10) 보유자의 작품을 상설 전시하고, 전승 전수교육을 통해 우리 지역 무형문화재의 우수성과 가치를 널리 알리고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강좌를 개설 운영하여 시민들에게 전통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자 한다.[ 관람정보 ]관람시간: 매일 10:00 ~ 17:00휴관일: 1월 1일, 설날 추석 연휴 등 법정 휴일관람료: 무료전화: 051-758-2530~1위치: 부산 수영구 수영로521번길 63지하철: 부산지하철 2호선 금련산역 하차 2번, 4번 출구 이..
국내 유일의 단층무주공간 전시장으로 최고의 국제회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벡스코는 동북아 최고의 전시컨벤션센터로 부산의 자랑거리이다. 한편 BEXCO 몰에는 다양한 편의시설이 마련되어 있는데, 중소기업을 위한 상설전시판매장, 컴퓨터, 문구, 민속공예전시품 등 다양한 업종의 쇼핑몰이 들어서 있다. 또한 전시장 내에 품격을 갖춘 고급 레스토랑에서부터 비즈니스 맨과 내방객의 편의를 위한 패스트푸드점, 편의점, 부페등 다양한 종류의 식당가가 마련되어 있다. 제1전시장 : 제 1전시장은 26,508㎡의 전시장으로 전문전시회, 대형회의, 각종 이벤트, 스포츠행사, 초대형기업행사 등 가능제2전시장 : 제 2전시장은 19,872㎡의 전시장으로 전문전시회, 대형회의, 각종 이벤트, 스포츠행사, 다목적 기업행사 등 가능오..
우주와 가장 가까운 곳, 나로우주센터는 우리나라 기술력으로 만들어진 우리나라 최초 위성 발사장이다. 나로우주센터에 위치한 우주과학관은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우주에 대한 꿈과 희망을 전하고 있다. 우주과학관은 우주에 관한 기본원리,로켓, 인공위성, 우주탐사 등을 테마로 구성된 상설전시관으로 32종 작동체험 전시물을 포함한 총 90여종의 전시품을 갖추고 있다. 상설전시관을 비롯하여 기획전시실, 3D 입체영상관, 4D 돔영상관, 야외전시장 등 우주과학을 쉽게 접하고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시설이 준비되어 있어 우주과학 관련 교육 및 체험학습이 가능하다. 그리고,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아름다운 자연을 만끽할 수 있다.나로우주센터 http://www.narospacecenter.kr 고흥우주항공축제 : Let's ..
부산시 기장군 동부산관광단지내 11만㎡의 부지에 들어선 국립부산과학관은 동남권의 주력산업인 자동차와 조선, 에너지 및 방사선의학을 주제로 하는 과학기술체험관으로 전체 전시물 180개 중 80% 이상이 기초과학의 원리와 첨단기술을 직접 느낄 수 있는 체험형 과학관이다.국립부산과학관 http://www.sciport.or.kr
부산 중구 대청동2가 24-2 부산 근대역사관 건물 연혁 1929. 09.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 건물신축 1949. 07. 미국 해외공보처 미문화원 개원 1950∼1953 미국대사관으로 사용 (한국전쟁기) 1982. 03. 18 부산 미문화원 방화사건 발생 1996. 10. 16 부산 미국영사관 폐쇄(미대사관 통폐합) 1998. 07. 10 부산 미문화원 철수 1999. 04. 30 반 환 2001. 05. 16 문화재 지정(부산시 기념물 제49호) 2003. 07. 03 현재 부산근대역사관으로 개관 부산 근대역사관은 일제 강점기인 1929년 지어진 이 건물은 최초에는 식민지 수탈기구인 동양척식주식 회사 부산지점으로 사용되었고, 해방후인 1949년부터는 미국 해외공보처 부산문화원이 되었다. 이후 부산..
강원 평창군 용평면 노동리 327-1 강원도 평창에 있는 이승복 기념관에서는 이곳을 청소년들에게 『무장 공비』의 잔학상을 일깨워주는 통일 안보 교육장으로 활용하고, 외국인들에게는 반공의 보루로서 한국의 현실을 재인식시키며, 후손들에게는 분단 민족사를 입증하는 역사적 유물로 남기고자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곳의 설립동기와 배경을 살펴보면 1950년 6월 25일 발생하였던 우리 민족의 최대 전쟁인 6, 25 한국 전쟁이 휴전으로 마감된 이후에도 북한에서는 한반도의 적화 통일 야욕을 버리지 못하고 호시 탐탐 재침의 기회를 엿보며 무장공비를 남파시켜 대한 민국의 발전을 저지시키고자 다각적인 시도를 해왔다. 그러던 중 1968년 10월 30일과 11월 2일, 3일 울진 · 삼척지구로 15명을 1개조로 편성한 ..
경남 통영시 정량동 863-1 청마 유치환(柳致環)선생의 문학정신을 보존,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망일봉기슭 1,220평의 부지에 문학관(전시관)과 생가(본채, 아래채)를 복원.개관하였다. 청마생가는 통영시 태평동 552번지 였으나, 도시의 발전으로 부지가 협소하여 제자리에 생가를 복원할수 없어 부득이 현 장소에 옛날 생가형의 모습을 갖추어 복원한 것이다. 전시관(51평)에는 청마의 삶을 조명하는 [청마의 생애] 편과 생명 추구의 시작을 감상하고 작품의 변천, 평가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청마의 작품 세계] 편, 청마가 사용하던 유품들과 청마관련 평론, 서적 논문을 정리한 [청마의 발자취]편, [시 감상코너] 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청마의 유품 100여점과 각종 문헌 자료 350여점이 전시되어 있다. 그리..
전북 남원시 사매면 서도리 노봉마을 『혼불』은 작가 최명희님이 1980년 4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17년 동안, 어쩌면 50년 전 생애를 오로지 바쳐 20세기 말 한국문학의 새 지평을 연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혼불』은 일제 강점기 때 사매면 매안마을의 양반가를 지키는 3대에 걸친 며느리들과 거멍굴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 선조들의 숨결과 손길, 염원과 애증을 우리말의 아름다운 가락으로 박제화되어가는 우리 민속 문화를 생생하게 복원, 형상화했다. 『혼불』에서 우러나는 아름다움과 애련함, 근엄함과 서러움, 밝음과 어둠이 댓바람 소리와 함께 대실을 건너 노봉 마을과 사매면을 감싸고 돈다. 가장 꽃다움을 보여주는 꽃심을 지닌 땅 노봉의 이곳 저곳에서, 또 울분의 꿈틀거림이 녹아 있는 거멍굴의 이 골목..
강원 삼척시 성내동 2002년 여름! 『 물과 시간이 빚어낸 신비의 세계』로 여러분을 모시고자 합니다. 한국의 대표적인 환선굴과 관음굴이 기암괴석과 어우러져 절경을 이루고 있는 이곳 강원도 삼척에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동굴을 한데 모아 전시하고 동굴도시의 문화를 보여 주는 축제의 장을 펼칩니다. 인류의 태동과 함께 동굴은 생명의 탄생과 은신처, 종교, 신화, 역사와 문화등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과학문명의 발달로 모든 것이 알려지고 있는 현재에도 동굴은 인간에게 무한히 비밀스럽고 신비스러운 모습으로 다가서고 있습니다. 또한 동굴은 그 자체가 오묘한 자연의 섭리, 즉 물과 영겁의 시간이 빚어낸 창조물로써 어떤 형태의 모습인지에 대한 해답은 물론 사람들의 호기심과 신비를 자극하는 미지의 공간입..
다산유물전시관은 다산초당 남쪽 700m 지점에 위치하며, 다산 정약용 선생의 생애와 업적 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꾸며져 있다. 영정, 다산연보, 가계도, 학통, 다산의 일생, 다산의 업적과 유물 등이 판넬과 조형물로 입체감 있게 전시되어 있다. 좀더 자세한 정보를 알고 싶을때는 컴퓨터를 활용한 터치스크린에서 검색해 볼 수 있다. 영상실은 다산의 일생과 강진을 소개하는 영상물이 약7분 동안 상영되는데 관광객이 영상실에 들어가면 자동으로 상영되므로 누구나 불편 없이 관람할 수 있다.
전남 영광군 군서면 한반도 주거 생활 변천 과정과 옛사람들의 지혜와 슬기를 직접 느낄 수 있는 본 주거변천사 야외전시장은 원시시대의 동굴집에서 청동기 시대의 움집, 삼국시대의 죽담집(토담집), 조선시대의 초가집과 기와집을 한눈에 볼 수 있다. 특히 본 전시장은 인근의 왕인문화유적지와 월출산국립공원, 월출산 온천관광지 등 관광연계코스에 자리잡고 있으며,영암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문화와 자연의 향기로 다양한 체험 관광을 할 수가 있다. [대중교통] *고속 버스* 서울 ↔ 광주(매 5분, 소요시간 4시간) 부산 ↔ 광주(매 20분, 소요시간 4시간 10분) 대구 ↔ 광주(매 30분, 소요시간 3시간 30분) 서울 ↔ 영암(매 60분, 소요시간 5시간) *항공편* 서울 ↔ 광주(10회) 제주 ↔ 광주(5회) ..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23 중소기업제품 할인매장은 소비자들이 다양한 제품을 시중가보다 헐값에 살 수 있고, 중소기업들에게는 판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돕는 백화점식 상설매장이다. 톡톡 튀는 아이디어상품과 의류, 가구, 주방용품, 전자제품 등 1백종이 넘는 각종 제품을 한자리에서 쇼핑할 수 있으므로 일반백화점과 다를 바가 없다. 판로개척을 위해 넓은 장소가 무료로 제공된 만큼 광고비와 유통업자 마진을 줄였기 때문에 공장도 가격 수준에서의 저렴한 알뜰 쇼핑이 가능하다. 1996년에 개장된 여의도 중소기업 전시장은 120개의 상설 코너가 마련돼 생활용품, 잡화, 혼수용품 등을 중심으로 각종 우수 중소기업 제품을 원스톱 쇼핑할 수 있다. 중소기업 제품이지만 체인점 형태로 많이 알려진 브랜드가 많은 편이고, 각종..
전남 순천시 송광면 우산리 선사시대 문화 유적인 고인돌군을 비롯 구석기 집터, 신석기 및 청동기 움집 6동과 선돌 등을 주암호수변 17,000평 부지에 야외 전시장, 유물 전시관, 묘제 전시관 등 전국 최초로 조성된 고인돌 공원이며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54호로 지정되어 있다. 고인돌은 선사시대부터 만들어진 묘의 일종으로 전국 각지에 산재 하나 전남 지역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어 선사문화를 연구하는데 귀중한 역사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총 140기의 고인돌은 순천이 109기 5개 고인돌군으로 가장 많고 보성 32기로 3개, 화순 7기로 1개군등 9개 고인돌군은 상호 비교 가능토록 배치, 복원했으며 화순지역의 구석기 집터는 타원형으로 문화층에서 기둥구멍 24개, 강자갈, 네모꼴의 구조물이 있다. 여천송도..
서울 서초구 우면동 205-6 매화향기 그윽한 생명나무집 ! 동네어귀를 지키는 늙은 느티나무, 심신산골바위에 허리를 걸친 소나무, 파도소리가 금세라도 들린것 같은 해송, 노란빛이 선명한 모과나무, 집안뜰을 장식하는 매화등등 .... 삼천리금수강산이 1천5백여평 비닐하우스안에 다 들어있는 동양 최대의 분재 전시관! 분재를 체계적 연구,분석,보급하는 곳이다. 일상적으로 쉽게 보기 힘든 80여종 약 1만여 그루의 분재들을 전시해 놓고 있어 나무에 관심있고 꽃을 사랑하는 마음을 지닌 사람은 누구든 환영한다는분재박물관에서 온가족이 함께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명의 고귀함을 느낄수 있는 멋진 시간을 가져볼 수 있는 공간이다. [대중교통] * 지하철 3호선 양재(7) * 버스 방앗간 414
경북 영양군 영양읍 서부1,3리 141-1 사라져가는 영양지역의 전통생활 자료를 조사·발굴·수집해 선별 전시한 [영양산촌생활사자료전시관]이 영양군민회관 옆 문화체육센터 2층에 개관되어 있으며, 2백여종 250여점을 전시하고 보조 설명을 위해서 산촌의 역사를 나타내는 자료, 도량형에 관한 자료, 석재(石材) 및 자기류에 관한 자료, 목재료, 농기구 자료, 베틀 및 관련 자료 등 5개의 설명판을 설치했다. 또한 각종 전시 자료를 재료별, 용도별, 재질별로 구분하고 그림과 설명문을 곁들여 제작해 학생들을 비롯한 관람객들이 산촌 생활상과 자료를 통해 조상들의 생활방식을 엿볼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전시관 입구에 설치된 장승(杖承)은 전통 민속문화를 대표하는 것으로, 황장목(춘양목)이라 불리는 적송(赤松)을 사..
경남 고성군 회화면 당항리 국내 최초로 지방자치 단체가 개관한 자연사전시관으로 다양한 자연사 자료를 전시하여 관광을 겸한 학습공간으로서 많은 가치가 있는 저시실은 11개의 테마로 이루어져 있다.
대전 중구 문화동 270-1번지 *연혁 - 1954. 7. 25 충청남도 학생과학관 개관 - 1954, 9. 19 학생과학관 신축(대흥동) - 1986. 12. 10 현 위치(문화동)로 이전 - 1990. 3. 22 충청남도 과학교육원으로 개칭 - 1996. 9. 1 제9대 송재빈 원장 취임 *운영 목표 - 기초과학 교육의 진흥과 과학의 생활화를 도모하고 탐구학습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창의력을 신장시키며 잠재력을 계발한다. *과학전시관 개요 - 과학전시관 규모 - 부지 : 6,987㎡ - 건물 : 1,755㎡ - 전관 2층으로 6개 실로 관리 운영 *과학전시관 특징 - 기초과학부터 첨단과학 전시물을 직접 조작 할 수 있도록 전시물을 전시 - 바다 및 민물고기 박제, 동물박제, 나비표본 등 전시 - 조상의 ..
대전 중구 문화동 145-3번지 한밭도서관내 대전 중구 문화동 한밭도서관내에 위치하고 있는 향토사료관은 대전지방과 주변에서 출토한 고고미술·문헌·생활민속자료를 주된 소장자료로 하고있다. 고고미술자료은 대전지방의 매장문화재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괴정동출토 청동기복제품을 비롯하여, 대전출토 각종 고고자료가 전시 소장되었다. 문헌사료는 가족과 친족에 관련된 신분 및 사회제도를 밝히는 문서와 개인문집이 대부분이다. 이들 자료는 유교이념이 지배하던 조선시대에 기호학파에 속하던 대전지방의 유학사 연구에 직접적인 자료 로 활용될 수 있다. 민속자료는 대전시민의 기증과 현지조사 자료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이들 자료는 주로 생활민속에 속한다. *연혁 1990. 6. 18. : 大田直轄市鄕土史料館 設置 및 運營條例公布..
경남 통영시 태평동 372-2 향토사료를 수집,발굴,보존,전시하여 선열의 얼을 배우고 전승하기 위한 교육의 장을 마련, 향토문물의 조사연구와 교육계몽에 이바지하고자 건립했다. 통영시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향토역사관은 연건평 169평으로 이곳에는 시대별로 선조들이 사용하던 생활용품과 각종문헌,사진 등 900여점을 전시,통영역사를 한눈에 바라 보고 이해할 수 있으며,임진왜란과 통제영 산하 12공방 관련 자료들이 핵심을 이룬다. 특히 영상스크린을 통하여 나전칠기, 소목장, 통영갓,문발,부채,연,누비 등 공예품과 오광대 ,승전무 등 유형문화재의 제작 및 공연 과정을 볼 수 있어 생동감을 더해주기도 한다. [승용차] 원문검문소 → 시내간선도로 → 데파트(우회전) → 향토역사관 : 15분소요 원문검문소 → ..
대전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은 과학기술 문화의 전당으로서 국민생활의 과학화를 촉진하고, 청소년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흥미유발과 창의력 배양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1945년 서울 중구 예장동에 국립과학박물관으로 설치되어 1949년 국립과학관으로 개편되었다. 그러나 6.25 사변으로 그 기능이 중단되었으나, 1972년 서울 종로구 와룡동 (현 서울과학관)에 건물과 전시실을 신축 운영하여 오던중 1983년 과학관 확충계획을 수립하고 사업에 착수하게 되었다수도권 인구의 집중에 따른 인구 분산방안과 전국적 교통의 중심점에 의한 관람객의 편의성 및 부지확보의 용이점 등을 고려하여 연구기관이 집결되어 있는 대덕연구단지 입구에 입지를 선정하게 되었다. 부지 5만평에 건평 8,690평 규모의 시설을 5년간에 걸친 공사 끝에 ..
경북 울진군 근남면 행곡리 228 내수면시험장내 울진 민물고기전시관은 국내 최초의 살아있는 민물고기 전시관으로 국내 최초의 물고기 생태 탐구 학습장이다. 인근 성류굴, 망양정, 불영계곡과 여녜한 울진의 새로운 명소로 부각되고 있다.
경북 칠곡군 석적면 중지리 한국전쟁 당시 유엔군의 참전과 왜관지구 낙동강 전투의 승전을 기념하기 위해 1979년 교통부가 건립하였다.
경북 칠곡군 가사면 다부리 유학산 동남쪽 다부리에 있는 다부동전적기념관은 뼈아픈 전쟁의 기억을 잊지 않고, 다시는 어떤 전쟁도 있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영원히 기억하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이곳 유학산과 다부리 일대는 6·25전쟁 당시 낙동강 이남 지역 특히, 대구 사수의 마지막 보루였던 관계로 우리 나라 역사상 그 어느 전투보다 치열했고 비참했던 곳이다. 인민군의 공세에 밀려 대구 함락의 위기에 놓였던 1950년 8월! 주력부대인 국군 제1사단(사단장 백선엽)이 자유조국의 운명을 짊어지고 유학산 등 다부동 일대에서 55일간의 결사항전 끝에 인민군 3개 사단을 물리쳐 대구를 지키므로써 북진의 발판을 마련한 세계전사에 빛나는 다부동 전투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1981년 국방부에서 여기에 다부동전적기념관을 ..
서울 강동구 암사동 155번지 암사동선사주거지 원시생활전시관은 선사시대의 생활상을 한눈에 알 수 있으며 특히 암사동 선사주거지와 관련한 영상물, 모형, 디오라마, 유물등을 집중 조명하여 전시한 곳입니다.
경남 거제시 신현읍 고현리 769-1번지 1950년 6월25일 동란발발 ,1950. 9. 15의 인천상륙작전으로 많은 포로가 잡혀 부산, 경북등에 분리 수용하였으나 수용에 어려움이 있어, 1950. 11. 27 거제도 고현, 상동,용산,수월, 해명,저산,양정지구를 중심으로 360만평에 포로수용소를 설치하였으며, 인민군 15만, 중공군 2만, 여자포로(300명)와 의용군 3천명 등 최대 17만 3천명을 수용하였다. 그당시 거제에는 주민 10만 피난민 약 15만명,포로 17만등 약 42만명이 거주하였다. 수용소안에서 300명의 반공포로를 집단 학살한 사건도 벌어지기도 했고, 인민군 포로가운데 공산당을 싫어하는 반공포로와 친공 포로간의 반목이 극심하여 서로간 치열한 살육전이 전개되기도 하였다.1952. 5. ..
제주 북제주군 조천읍 조천리 1142-1 제주항일기념관은 제주지역의 항일 독립운동에 관한 역사덕 자료를 수집, 보존, 전시함으로써 우리 고장 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정신과 자주독립정신을 계승 발전시키고, 자라나는 후세들에게 올바른 역사의식과 애국, 애향정신 함양을 위한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자 건립되었다. * 제1전시실에는 항일운동연표, 일제침탈과 기구의 개편, 송죽매의 결의, 지식층의 성장과 민족교육, 제주도 항일운동 발생지역도, 법정사 항일운동(패널과 디오라마), 의병운동, 제주인의 항일운동(부조), 일제의 강제침략과 항일운동 관련 사진 그래픽 등이 전시되어 있다. * 제2전시실에는 3ㆍ1운동 전국상황도, 전국 3ㆍ1운동의 실체, 조천만세운동(패널과 디오라마), 백응선 비석, 독립희생회 군자금 모금운동,..
충북 진천군 진천읍 교성리 산41-100 진천 향토민속자료 전시관은 '95년 12월에 준공하여 '96년 5월에 개관 하였으며, 우리의 민속자료(의식주 생활용구와 농기구)를 농경생활 시기별로 전시하여 조상들의 얼을 새기는 삶의 교육장으로 활용하고 있음. [대중교통] ★청주 - 진천간 시외버스 진천하차후 청주방면 약 3Km 지점.
경기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 39-6 효원의 도시 수원은 조선조 제22대 정조대왕의 아버지(사도세자)를 그리워하는 마음과 개혁정신을 구현하고자 조성한 계획도시로 화성이 축조되었다. 또한 수원시에서는 지지대 고개 아래 효행기념관을 건립하여 수원관련 사료, 정조대왕의 발자취, 충효사료, 문화유적및 관광안내자료를 전시하고 있어 시민, 학생들의 교육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주변 경관이 수려하여 어린이를 위한 가족단위의 여가 활용에 매우 좋은 곳이다. [승용차] * 서울(의왕) - 1번국도 - 지지대고대 - 프랑스군참전비 - 효행 기념관(총 41KM) * 용인(신갈) - 42번국도 - 동수원사거리 - 경수산업도로 - 효행 기념관(총 12KM) * 오산 - 1번국도(경수산업도로) - 효행기념관 (총 12KM) [..
부산 동래구 온천1동 산13-1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1동 산 13-1번지 일대에 위치한 금강공원내에 있는 부산 광역시립세계해양생물 전시관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해양생태계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곳이다. 아직도 대다수 시민들은 우리고장에 훌륭한 해양학습관 이 있는지 몰라서 자녀들에게 바다에 대한 의문점을 풀어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곳에는 다양한 조개류와 어류 등 해양생물의 현장학습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부산시립 세계해양생물전시관 해양도시인 부산에는 21세기 해양시대를 대비하고 해양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학생 과 시민들에게 해양의 산교육장으로 삼고자 해양생물의 국내 최대 소장가인 김동섭 박사 로부터 1,700여점을 기증받고, 그외 소장자와 수산업 관계자로부터 추가 수집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