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축제행사.10월
- 축제행사.강원도
- 겨울축제
- 여름철
- 주말산행
- 축제행사.12월
- 등산
- 바다
- 등반
- 해변
- 봄축제
- 축제행사
- 휴가
- 여름축제
- 가을축제
- 피서
- 축제행사.경기도
- 여름체험
- 축제행사.7월
- 주말여행
- 축제행사.서울
- 피서철
- 여름휴가
- 제주도
- 산행
- 명산
- 축제행사.9월
- 축제행사.1월
- 산
- 축제행사.4월
- Today
- 108
- Total
- 3,717,085
목록문화ㆍ행사/미술관 (25)
국내여행 Travel
20여년 한 평생을 제주도민으로 사진을 담아 온 김영갑 선생님의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는 김영갑갤러리두모악. 성산일출봉 여행 중 들리기에 좋은 곳이다. ▷ 제주도 : 이국정취 가득한 은혜의 땅, 환상의 섬
아미미술관은 순성면에 자리잡은 폐교된 농촌학교였던 것을 작가 박기호, 설치미술가 구현숙이 가꾸어 온 곳이다. 야외전시장은 평소 자연학습장으로 활용하며 야외 조각 및 설치 미술 전시하고 있다. 전시실은 5곳으로 평소에는 상설전시장으로 활용하고 기획전을 유치하며, 작업실 4곳은 제지던스작가들의 작품활동실 또한 전시 및 미술관에서 이루어지는 모든행사를위한 작업실이다. 한옥은 전통가옥을 복원하여 선조의 생활도구 및 생활상을 피부로 느낄수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기도 하고 레지던스 작가들의 거주 숙소로도 활용 중이다. 연구실엔 2000여권의 일반 교양서적과 미술서적,철학 및 종교서적을 비치하고, 200여점의 국내외 유명작가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amiart.co.kr페북 facebook.com/EcoleDeAmi
부산 해운대구 우1동 1413 '문화의 불모지'라는 불명예의 떨쳐버리기 위해 지난 92년 부산시가 360여억원을 들여 지은 시립미술관. 5천평의 대지 위에 지하 2층, 지상 3층 규모로 조성돼 지난 98년 문을 열었으며 '부산의 지역성을 살린 부산다운 건축물'로 인정돼 '제1회 부산시 건축상' 최고상인 금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시립미술관의 외형은 부산의 상징인 바다와 부산의 첫 자음인 'ㅂ'을 도식화한 것이라고 하며 건물 아랫부붐은 파도를 형사화한 것이라고 한다. 전체적으로 건물의 지붕과 외형을 영어 M자 형태로 형상화하여 웅비하는 듯한 모습을 강조하고 있다. 개원 초기 편의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아 졸속개원이라는 비난도 들었으나 지금은 주차장, 도서관, 식당 등 편의 시설과 부대시설을 완비해 부산의 새..
서울 종로구 부암동 자하문 고갯길을 올라 북악스카이웨이에 들어서는 길목 왼쪽에 보면 환기미술관으로 안내하는 표지판을 찾을 수 있다. 약간 좁은 느낌의 골목길 안쪽, 북악산 배경으로 그림처럼 서 있는 이 건물은 수화 김환기 화백의 예술세계를 기리는 미술관이다. 북한산성과 인왕산의 바위가 보이는 곳, 서울의 아름다운 자연을 생생하게 접할 수 있는 자리이다. [대중교통] * 지하철 3호선 경복궁(3)-부암동 동사무소 방면
서울 종로구 평창동 쌍용그룹 창업주인 성곡 김성곤 선생의 기업을 통한 사회봉사의 정신을 미술문화로 구현하고자 설립된 공익재단이다. 이 미술관은 1995년 개관이후 젊은 미술관을 표방하여 미술문화 지원을 통한 한국 현대미술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투자와 참신한 전시를 기획, 추진하여, 기획전 위주로 운영된다. [대중교통] * 지하철 1. 5호선 : 광화문역 4번출구 - 서대문방향 - 봉쥬르카페골목 400m상행 - 성곡미술관 2. 3호선 : 경복궁역 7번출구 - 쌍용화재 400m상행 - 성곡미술관 * 버스 광화문 123, 129, 131, 134, 135, 135-1, 135-2, 136-1, 142, 146, 147, 150, 151, 153, 154, 155, 156, 157, 158..
서울 종로구 동숭동 1-60 개관당시 전시장으로 설계된 것으로 설치작업에 편리한 트랙시설과 함께 3m라는 천정고를 갖고 있으며, 나무바닥으로 꾸며져 있다. 앞서가는 미술작업인들에게 자신의 예술세계를 보여줄 수 있는 공간의 역할로 매년 명칭은 다르나 평면작업뿐 아니라 입체작업등 다양한분야의 전시가 기획된다. 정적으로만 인식되어온 전시공간이 얼마든지 동적인 리듬과 입체감을 가지고 변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작업의 장소로 미술인들에게 좋은 평을 받고 있다. [대중교통] * 지하철 4호선 혜화(2) * 버스 혜화역 12, 13, 20, 222, 3, 361, 5-1, 63-1, 113(좌석), 902(좌석)
서울 종로구 인사동 15 1992년 고미술과 현대미술의 전시를 위해 개관하였다. 현재 갤러리는 대관의 형식으로 현대미술을 위주로 운영되며 1년에 5번 정도의 기획전이 있다. 주로 작업에 전념하는 전업작가들에게 전시의 기회를 많이 주고자 작가선정에 있어 신중을 기하고 있다. 인사동에서는비교적 크기나 규모가 큰 갤러리에 속하며, 젊은 작가들의 발표의 장으로 미술계에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대중교통] * 지하철 1호선 종각(3)-인사동방향 3호선 안국(6)-한국일보방향 * 버스 종로2가 131, 134, 146, 154, 155, 157, 222, 23, 25, 30, 302, 32, 38, 401, 5-1, 53, 542, 59, 710, 1007(좌석), 2(좌석), 45-2(좌석), 50(좌석)
서울 종로구 사간동 78 금호미술관은 지방작가를 발굴.지원하고 독특한 문화를 반영하는 지역미술전을 열어 문화의 과도한 중앙편중 현상을 해소하는 한편, 역량있는 신예.기성작가전과 동시대 미술을 진단하고 전망하는 기획전을 통해 우리 미술문화의 발전을 기여하고자 지난 1989년 관훈동에 개관하였다. 금호미술관은 이제까지 다져온 경험을 바탕으로 미술관 문화를 선도하고 우리 미술의 발전에 노력하고자 한다. 금호예술아카데미(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사,미술론,작가와의 대화등의 강좌로 화.수.목요반으로 편성,인원은 35명으로 구성) 카페테리아(폭넓은 대화의 시간과 편안한 휴식을 위한 작은 카페테리아 운영), 아트샵(미술서적과 자료및 문헌, 작가들의 미술장식품, 기념품 판매) 금호갤러리콘서트 (미술과 음악이 한공간에..
광주 동구 궁동 35-1번지 예술의 거리 중앙에 위치한 무등예술관은 광주광역시 동구청 직영으로 운영되는 미술관으로 서양화,한국화,예술사진,조각,판화등 각종 전시회 뿐만 아니라 발표회,세미나장,소규모 문화행사의장으로 이용되어 시민들의 발길이 더욱 잦아지고 있는 문화적 공간이며 예술의 공간이기도 하다. [대중교통] -시내버스 이용 대의동에서 하차 (전남도청앞. 남도예술회관 왼쪽 골목) 117,912,519,816,311,168,416,218,138,618,711,118,915,213 511,435,812,515번 -광주역에서 2.5km (10분소요 1,2번 버스) -충장파출소에서 500m 거리 (도보로 10분 소요) -광주공항에서 13km (시내버스 5,555,999번 이용 40분 소요) -광천터미널에서 9..
서울 종로구 관훈동 30-1 1983년 12월 6일 개관한 경인 미술관은 인사동의 한 가운데 자리하고 있으며, 예술인의 문화공간으로서 뿐만 아니라, 국내외 관광객의 관광명소로도 널리 알려진 곳이다. 지방문화재 제16호로 지정됐던 경인미술관 전시실은 개화파 정객 박영효의 저택이다. 서울의 8대가 중 하나였던 박영효의 생가 본채는 남산 한옥마을이 조성되면서 그곳으로 옮겨졌다. 공간을 늘리기 위해 한옥 옆에 새로 건물을 지어 예전같은 고즈넉한 맛은 좀 덜하지만 총 약500평 대지 위에 제 1,2,3 전시실과 야외 전시장, 각종 행사를 할 수 있는 야외 무대와 스크린, 전통찻집 (다원)으로 꾸몄다. 1999년 5월 26일 경인 아트 앤 크래프트 샾을 새롭게 오픈하여 목공예, 도예, 금속공예, 유리공예, 판화, ..
제주 서귀포시 서홍동 621 기당 강구범선생이 향토문화창달을 위해 건립 기증한 이 미술관은 문예회관과 더불어 서귀포의 문화ㆍ예술ㆍ교육의 전당을 이루고 있다. 많은 전시회를 갖고 있는 기당 미술관은 삼매봉에 자리를 잡고 있어 더욱 그 형태에 어울리는 모습을 하고 있다. 1987년 7월 1일 개관한 종합 문예회관 내의 시립미술관이다. 기당 강구범선생이 향토문화창달을 위해 건립 기증한 이 미술관은 문예회관과 더불어 서귀포의 문화·예술·교육의 전당을 이 루고 있다. 3백평의 면적에 건축물은 독특한 외형을 지니고 있는데 제주도에서 농사를 짓고 난 후 부산물을 쌓아놓는 '눌' 모양을 본떴다. 내부구조 또한 원형을 띠면서 색다르게 돼있다. 건축물로서도 칭송을 받고 있으며 삼매봉의 바로 밑에 자리를 잡고 있어 신선한 ..
인천 강화군 송해면 솔정리 561 문화예술의 관광 도시로 발돋움해가는 강화의 이름을 빛내줄 전원미술관으로 96년에 개관되어 넓은 장소의 다양한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제 3실에 화문석 공예관도 있다.
인천 남구 학익동 587 수많은 미술품들이 소장돼 있는 송암미술관은 개인 미술관이다. 지하1층, 지상 2층 규모의 송암미술관은 전시실과 야외전시장에 도자기, 불상, 고서화, 목판, 고대중국유물등 3,000여점의 문화유산을 전시하고 있다. 도자기, 회화류는 시대별, 분야별로 소장하고 있어 그 분야의 연구에도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대중교통] ★동인천역-> 일반버스: 9번, 16번을타고 송암미술관앞에서하차 ★ 좌석버스:107번을 타고 송도고등학교 입구에서 하차->해안방면으로 500m쯤 가면 나온다.
제주 북제주군 애월읍 광령2리 2741 제주시에서 서부산업도로를 따라 20분 정도면 갈수 있는 신천지 미술관은 뒤로는 한라산 정상이, 앞으로는 제주의 해안과 관탈섬, 그리고 제주 시내가 굽어 보이는 한라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다. 전국의 조각가 1백여명의 야외조각 작품 3백50여점과 회화 100여점을 소장하고 있다. 특히 동물조각이 전시된 언덕 전시장은 어린이들의 인기가 높으며 50여 기의 시비가 서 있는 은 문학인들이 즐겨 찾는 장소이다. 실내 전시장 뒤쪽에 진열한 수백개가 넘는 제주도 항아리들은 미술관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또다른 제주의 멋을 느끼게 한다. [승용차] 제주시 노형삼거리-서부산업도로 (6.4km) [대중교통]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중문행(서부산업도로)버스 이용. 신천지미술관 앞 하차, 20..
경남 마산시 합포구 추산동 51-1 마산 추산동 언덕빼기에 올라서면 마산 앞 바다가 훤히 내려다보이는 곳에 마산이 낳은 세계적인 조각가 문신 선생이 14년여 동안 정열을 쏟아만든 문신미술관이 있다. 그 자체가 조각가 문신의 대표작이라 할 정도로 정성 들여 만든 미술관으로 풀 한 포기에서 돌 하나에 이르기까지 문신의 손길이 닿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로 예술적 역량을 다 바친 곳이다. 우주와 생명의 운율을 시각화하는 작가로 평가를 받고 있는 문신(1923∼1995)은 미술의 본고장이라 하는 프랑스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뒤로하고 귀국, 고향인 마산에 자신의 작품을 모아 미술관을 건립한 예술가이다. 문신의 작품은 추상조각이지만 외형적 조형미에서나 스테인레스와 같은 재질이 창출하는 분위기에서 자연의 형상과 인체, ..
경북 경주시 신평동 370 전통의 계승과 창조가 어우러진 신라천년의 고도 경주에 자리잡은 선재현대미술관은 고대문화와 현대미술이 조화를 이루며 함께 호흡하고 있다. 선재미술관은 경주 보문단지 내 호숫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1년 5월 18일에 개관, 많은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서울이라는 문화적 중심권에서 비록 멀리 떨어져 있어 다소 외로워 보이기는 하지만 고대와 현대의 조화를 이루며 상호 공존할 수 있는 문화적 초석을 다지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미술관 규모는 인공채광과 자연채광을 사용한 3개의 대형 전시실외에 1백20석의 강당, 워크숍실, 도서실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선재미술관은 대우개발 정희자 회장의 개인 소장품을 기반으로 설립된 이 미술관은 미국 유학 중 사망한 설립자의 장남 김선..
경기 용인시 포곡면 가실리 204(에버랜드 내) 호암미술관은 삼성그룹의 창업주인 故 호암 이병철 회장이 삼성문화재단에 기증한 고미술품 4,000여 점을 기본으로 1982년 4월에 개관하였다. 수려한 자연경관 속에 세워진 호암미술관은 전통 한옥의 본관 건물과 전통정원(회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본관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2층, 연건평 1,300평 규모에 450평의 전시실을 갖추고 있다. 1만 5,000평에 이르는 전통 조형물을 전시하고 있어 본관 건물과 조화를 이룬다. 이 곳의 소장품은 총 2만여 점을 헤아리며, 이 중에는 국보 및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도 91점이나 된다. 독창성과 우수성이 세계적으로 알려진 고려청자, 한국적 미감을 다양하게 표현한 분청사기, 유교문화의 격조 높은 정신문화를 대변하는 ..
경기 이천시 신둔면 수광리 수광리 330-1 해강도자미술관은 한국의 도자기 발달사와 도자기 빚는 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도자전문미술관으로 청자 문화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해강은 평생을 도자기 수집과 전통 자기 재현에 바친 청자의 명인 고(故) 유근형(1894-1993년)의 호이다. 전시실 규모는 약300평으로 1층에는 도자문화실, 해강기념실, 기념품 판매실이 있으며, 도자문화실은 도자의 분류에서부터 한국의 도요지 분포도, 도자기의 종류와 제작과정, 문양장식기법 등이 정리되어 있고 해강기념실에는 해강선생의 명품 20여 점이 전열되어 있다. 2층은 주전시실로 고려 12세기경의 청자를 비롯해 백자, 분청사기 등 1,400여점의 방대한 유물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도자 연구소가 별도로 있다. 3층..
경기 용인시 구성면 마북리 73-1 한국미술관은 한국 현대 미술에 큰 관심을 갖고 현대 미술의 발전과 대중을 위한 미술문화 보급에 힘쓰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미술사와 서양미술사, 건축과 조각, 공예이론, 현대미술비평 등의 미술이론 및 도자기, 유화, 사진 등의 실기를 정기적으로 강좌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예술 장르와의 교류도 시도하고 있다. 전시실로는 제1전시실과 소전시실, 실내 조각전시장 및 600평 정도의 야외 조각전시장을 갖추고 있으며, 연구자료실에서는 각종 미술관계 도서와 잡지, 비디오를 열람할 수 있다. 도예, 서양화, 타피스트리, 조각, 사진, 서예, 공예 등을 망라하고 있다. '98경기도 테마미술관으로 지정(현대미술분야)되었다. [승용차] 경부고속도로 신갈 인터체인지에서 한성컨트리클럽..
경기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 6-3 토탈야외미술관은 1984년 10월에 개관한 야외미술관으로서 주변의 장흥관광지와 연결하여 많은 관람객들이 들르는 곳이다. 현대적 감각을 갖춘 6,000여 평에 이르는 조각공원과 300여 평의 실내 전시장을 갖춘 돌담으로 둘러싸인 숲 속의 현대미술관이라는 찬사를 받고 있다. 이 곳에는 입체·평면 등의 작품들을 연중 전시하고 있다. 또한 약 1개월 단위로 한국현대미술을 위주로 한 기획전이 열리고, 약 200여평의 원형공연장에서는 무용 퍼포먼스, 재즈, 마당놀이 등이 공연된다. [승용차] 의정부와 벽제간 국도, 장흥면사무소에서 장흥계곡 쪽 장흥관광지 내에 있다. [대중교통] * 서울 불광동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의정부행 시외버스 이용. * 서울 서부역이나 신촌역에서 교외선 기차 이..
경기 시흥시 대야동 305-9 극동그룹의 창업 주인 김용산 회장이 수십년간 수집한 도자기 108점을 기본으로 설립하였다. 소장품은 분청사기와 고려청자, 조선백자를 비롯하여 한국적인 미감을 표현한 도자명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고려청자 22점, 분청사기 23점이 있고, 조선백자는 백자곤(조선 16세기) 등 58점, 토기인화문골곤 등 5점이 소장되어 있다. 그 밖에 불화, 한국화, 서양화 등 다양한 미술품이 전시되어 있고, 도서자료실에는 1만 3,000여 권에 이르는 미술 관련 전문서적과 100여 종의 전문잡지, 학위논문, 국내외 정기간행물, 국내외 전시 도록 등이 비치되어 있다. [승용차] 시흥시 대야동까지 가서 동서증권연수원을 찾는다. 그 옆에 있다. [대중교통] 지하철 1호선 부천역 하차. 부천역에서..
경기 여주군 북내면 오학리 282-2 석봉(石峰) 조무호 선생의 작품을 비롯, 국내외유명 도예가들의 작품을 전시하고 있는 전문미술관. 미술관 입구를 들어서면 웅장한 한옥식 전시관 외부 전면에 도자기판으로 만든대형벽화 7점이 눈길을 끈다. 전시관 1,2층에는 석봉선생이 작업한 200여점의 청자, 백자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또 별관에 마련된 모형관은 도자기 인형을 이용, 도자기 제작공정을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소나무와 꽃나무들로 어우러진 3천여평의 야외 휴식공간에 도자기 작품들이 전시되어 관람과 휴식을 겸할 수도 있다. 또한 이곳에서는 도자기 제작과정이 일반에 공개되고 있으며 직접 제작해 볼 수도 있다. 연2회에 걸쳐 도예캠프가 개최되며 분기별로 도예강좌도 열린다. [승용차] 여주톨게이트를 지나 여..
경기 고양시 덕양구 벽제동 30-3 조각공원 약 2,500여 평과 실내전시 공간, 휴게시설을 다양하게 갖추고 있으며, 100여 점의 대형 야외조각과 실내조각품들이 특색 있다. 특히 조각가 김찬식의 작품이 연대기적으로 소장되어 있어 195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인체와 생명력을 모티브로 한 작업의 변천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다. 또 연중 조각가들의 기획전과 개인전이 꾸준히 열리고 있으며, 조각분야에 관련된 연구 논문 등을 발간하고 있다. 목암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작품은 총 208점이며, 이중 조각(야외 및 실내 작품)131점, 서양화 18점, 판화 20점, 동양화 15점, 드로이 5점, 도자공예 10점, 금속공예 7점, 염직공예 2점 등의 작품을 갖추고 있다. [승용차] 1번 국도에서 벽제쪽..
경기 남양주시 화도읍 월산리 246-1 경기도 마석의 쾌적하고 수려한 자연환경 속에 자리잡은 모란미술관은 1990년 4월 28일에 개관하였다. 모란 미술관은 국내.외의 우수한 현대미술을 수집하고 소장하며 그 미술품을 전시하고 소개하는 종합적인 현대미술의 공간이다. 특히 서울과 경기도, 그리고 춘천을 잇는 지역문화의 연결고리로서의 역활과 한국 현대조각의 발전에 충실하고자 하며, 8,500여평에 이르는 야외전시공간에는 국내.외 유명조각가들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으며, 실내 전시장에는 평면과 입체작품들을 상설전시 또는 기획전시하고 있다. 모란미술관은 관람객들에게 여유로운 산책과 사색을 위한 휴식공간이 될 뿐만 아니라 미술관 내의 야외음악당 무대와 넓은 실외공간에서 인접 예술 분야들의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여 지..
경기 과천시 막계동 산 58-1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국립미술관으로서 한국 근·현대 미술의 흐름과 세계미술의 시대적 경향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으로 1910년 근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미술작품 3,600점을 체계적으로 수집, 보존, 전시하고 있다. 또한 국립현대미술관은 청계산을 배경으로 한 1만여 평의 야외조각장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서울대공원, 서울랜드 등과 인접해 있어 가족끼리 나들이 하기에 최상의 조건을 가지고 있다. 미술관 전경이 매우 수려하기로 이름 나 있으며 운치 있는 자그마한 저수지가 마련돼 있어 산책하기에도 좋다. 전시실의 햄프코아에는 1,003개의 모니터로 구성된 백남준의 비디오 아트(다다익선)가 자리잡고 있고, 한국화, 양화, 조각, 공예, 서예, 사진 등 6개의 상설 전시장과 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