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남사 지모전석탑 - 월남사 지모전석탑

by 넥스루비 2007. 8. 7.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남리

이 탑은 중국의 전탑양식을 따른 모전석탑으로 그 분포 상황은 우리 나라 중부 지방을 비롯하여 특별한 밀도를 보였으나 일부에서는 지방으로도 전파된 예를 남겼다. 탑의 구성은 단층 기단 위의 3층 석탑으로 기단 구조에서부터 전탑 양식을 따르고 있으며 특히 이 석탑에서 주목되는 것은 기단부나 탑신부에서 다수의 소석재로 각부를 구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기단은 장대석을 방형으로 돌려놓은 중앙에 높직한 하대석을 놓고 그 위에 우주석과 명석을 별석으로 조성한 중대석이 놓이고 다시 평판석을 여러매 얹어 갑석을 삼았다. 이 기단은 그 폭이 초층 옥개보다도 좁아서 조형상 안정감을 결여하고 있다. 초층 옥신은 역시 우주와 면석을 별석으로 조성하였는데 이층 이상도 거의 같은 수법이다. 초층은 매우 높은 편이고 2층은 감축되었고 3층은 2층과 거의 차이가 없다. 옥개석은 이 석탑에서 가장 특징을 나타내는 부분으로 옥개 받침은 3단으로 중앙의 각형을 중심으로 그 상하에 소로형의 석재를 끼워서 결구하였다. 이는 부여 정림사지석탑의 옥개 받침을 연상케 한다. 추녀의 상하 수평으로 가다가 우각에서 경미하게 반전을 보였다. 옥상에는 각형으로 3단의 층급이 있는데 이는 전탑의 옥개 형식을 따른 것이다. 2층 이상도 같은 수법이면서 차츰 체감되었다. 상륜부는 방형 석재가 놓이고 그 위에 소로형의 석재를 마련했으며 정상에 보주를 얹었다. 이 석탑은 모전탑이면서 석재 결구에 있어 다분히 백제탑 구성을 전승한 예로 이 지역에 백제 계열 석 탑양식이 계승되고 있음이 주목된다. 한편 월남사는 페사되고 현 재는 탑과 석비만 남아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월남사는 월출산 남쪽에 있으며 고려 승려 진각이 창건하였다(月南寺 在月出山南高麗僧眞覺所創)」이란 기록이 있다. 한편 이 탑 후방 약 30m 지점 일대 민가에는 법당의 주초석과 석탑의 결구석으로 보이는 석재 등이 산재하고 있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