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불산성 - 우불산(于佛山)의 산줄기를 따라 축조한 포곡식 석축산성

by 넥스루비 2007. 8. 7.
경남 양산시 웅상읍 삼호리 산 2-3

우불산성(于弗山城)

남·북 양봉(兩峰)으로 이루어진 우불산(于佛山) 남봉의 정상부 외곽과 남동쪽의 곡부(谷部)로 이어지는 산줄기를 따라 축조한 포곡식(包谷式) 석축 산성이다. 마을 주민들은 이 산을 '산성', '산성안', '성비알'로 부르고 있다. 성내의 지형은 정상부위가 평탄한 반월형상의 대지상이고 그 외곽은 급경사를 이루며 남동 장변의 중간부위에는 얕은 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성은 이러한 자연지세를 따라 조성되어있는데 남·북 성벽과 서 성벽은 정상부의 외곽을 따라 축조하였고 동 성벽은 곡부로 이어지는 능선의 척부(脊部)에 축조한 포곡식이다. 현재 동 성벽의 중간부위인 곡부에는 관음정사(觀音精舍)가 자리해 있다. 현재 성벽은 모두 붕괴되어 원상을 유지한 부분은 찾아볼 수 없으며 북 성벽측에는 납석 채취로 인하여 성벽의 기저부까지 훼손된 상태이다. 성벽은 대부분 붕괴된 상태이지만 남겨진 석재의 양으로 보아 일정단위를 이룬 체성의 규모는 상당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체성의 구축에 사용된 석재는 대부분 주변에서 구해지는 할석들이며 부분적으로는 냇돌도 섞여 있다. 성의 축조기법은 성벽이 크게 허물어진 상태여서 제대로 알기 어렵게 되었으나 붕괴된 석축의 양상으로 미루어 체성의 구축방법은 협축식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 성은 후대에 한 차례 개축된 것으로 보여지는데 붕괴된 성벽의 중심을 따라 너비 1m 내외의 협축된 개축흔이 남아
있다. 성으로의 출입은 동 성벽 중간부위의 계곡을 통해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의 연대는 내부에서 채집되는 토기편과 서남쪽의 주남리 고분군(周南里古墳群)의 존재 등으로 미루어 삼국시대에 초축된 것으로 여겨진다. 성의 폐기 시점은 임진왜란 당시 성을 거점으로 왜군이 일시 주둔앴다고 하는 속전(俗傳)과 구지(舊誌)의 기록을 근거로 한다면 임진·정유년(壬辰·丁酉年)의 왜란(倭亂)때까지 존속했던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이는 성의 개축 흔적을 통해서도 추정 가능한데, 속단할 수는 없지만 이 흔적은 위 속전의 내용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 참고문헌 : 창원대학교박물관·양산시, 1996, <<양산시문화유적정밀지표조사보고>>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