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여주군 능서면 왕대리 산 83-1
한글, 측우기, 해시계... 우리 역사상 가장 성군으로 평가받는 세종대왕과 관련있는 성과물이다. 영릉의 세종대왕과 소헌왕후를 모신 합장능이다.
세종대종은 승하 직후 헌릉 서쪽에 모셔졌으나 예종 원년(1469년)에 이 곳으로 이장됐다. 영릉의 지세는 봉황이 날개를 펴고 내려오는 형국으로 천하의 명당으로 꼽힌다. 정문의 오른쪽에는 재실과 세종대왕 동상이, 왼쪽에는 기념관인 세종전이 배치돼 있다.
경릉과 300m 가량 떨어진 거리에 조선 17대 효종(1619~1659년)과 인선왕후 장씨가 모셔진 녕릉이 자리해 있다.
●구리 ⇒ 판교 고속도로 ⇒ 성남매표소에서 광주행 출구로 ⇒ 산업도로 ⇒ 곤지암4거리 ⇒ 이천 복하교 ⇒ 42번 국도 ⇒ 영릉
●영동고속도로 ⇒ 여주IC ⇒ 37번 국도 ⇒ 여주읍 ⇒ 사거리 ⇒ 이포대교 방면 2.5km 진행 ⇒ 365번 지방도로 ⇒ 영릉
[대중교통]
●여주에서 이천행 버스 이용, 영릉 입구 하차.
한글, 측우기, 해시계... 우리 역사상 가장 성군으로 평가받는 세종대왕과 관련있는 성과물이다. 영릉의 세종대왕과 소헌왕후를 모신 합장능이다.
세종대종은 승하 직후 헌릉 서쪽에 모셔졌으나 예종 원년(1469년)에 이 곳으로 이장됐다. 영릉의 지세는 봉황이 날개를 펴고 내려오는 형국으로 천하의 명당으로 꼽힌다. 정문의 오른쪽에는 재실과 세종대왕 동상이, 왼쪽에는 기념관인 세종전이 배치돼 있다.
경릉과 300m 가량 떨어진 거리에 조선 17대 효종(1619~1659년)과 인선왕후 장씨가 모셔진 녕릉이 자리해 있다.
[승용차]
●구리 ⇒ 판교 고속도로 ⇒ 성남매표소에서 광주행 출구로 ⇒ 산업도로 ⇒ 곤지암4거리 ⇒ 이천 복하교 ⇒ 42번 국도 ⇒ 영릉
●영동고속도로 ⇒ 여주IC ⇒ 37번 국도 ⇒ 여주읍 ⇒ 사거리 ⇒ 이포대교 방면 2.5km 진행 ⇒ 365번 지방도로 ⇒ 영릉
[대중교통]
●여주에서 이천행 버스 이용, 영릉 입구 하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