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사하구 다대동 468-6
다대포는 예로부터 어업으로 생계를 이어온 어촌으로 최근까지 소규모나마 멸치 후리질을 해왔으며, 멸치 저인망 어업에 종사하던 토착어민들이 많아 멸치잡이 후리질에 관한 어로요 및 어로풍속을 다른 지방보다 많이 간직하고 있다.
다대포후리소리는 멸치잡이 후리질의 순서에 따라 부르는 어로노동요를 작업의 동작을 곁들여 입체화하는 한편 풍어를 기원하는 용왕제 및 풍어를 자축하는 풍어소리 등으로 구성되었다.
다대포의 멸치 잡이 후리질은 1960년초까지 남아 있었으므로, 이곳 어민들은 그 작업과정은 물론 어로요를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 따라서 멸치잡이에 소요되는 어구와 작업의 방법을 재현 보존하고 있을 뿐 아니라 후리소리는 다대포 나름의 특성을 간직한 채 보존 전승하고 있어 민속적, 음악적 가치가 뛰어난 무형문화재라 할 것이다.
현재 다대포후리소리보존협회에서 전승, 보급에 힘쓰고 있다.
[대중교통]
동래, 부산역==>> 지하철 이용 신평역에서 하차후 98, 2, 11번 버스 이용.
괴정역==>>96번 버스 이용.
부산역==>> 2, 98번 버스 이용. 남포동에서 11번 버스 이용
다대포는 예로부터 어업으로 생계를 이어온 어촌으로 최근까지 소규모나마 멸치 후리질을 해왔으며, 멸치 저인망 어업에 종사하던 토착어민들이 많아 멸치잡이 후리질에 관한 어로요 및 어로풍속을 다른 지방보다 많이 간직하고 있다.
다대포후리소리는 멸치잡이 후리질의 순서에 따라 부르는 어로노동요를 작업의 동작을 곁들여 입체화하는 한편 풍어를 기원하는 용왕제 및 풍어를 자축하는 풍어소리 등으로 구성되었다.
다대포의 멸치 잡이 후리질은 1960년초까지 남아 있었으므로, 이곳 어민들은 그 작업과정은 물론 어로요를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 따라서 멸치잡이에 소요되는 어구와 작업의 방법을 재현 보존하고 있을 뿐 아니라 후리소리는 다대포 나름의 특성을 간직한 채 보존 전승하고 있어 민속적, 음악적 가치가 뛰어난 무형문화재라 할 것이다.
현재 다대포후리소리보존협회에서 전승, 보급에 힘쓰고 있다.
[대중교통]
동래, 부산역==>> 지하철 이용 신평역에서 하차후 98, 2, 11번 버스 이용.
괴정역==>>96번 버스 이용.
부산역==>> 2, 98번 버스 이용. 남포동에서 11번 버스 이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