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문화ㆍ행사/문화회관 (47)
국내여행 Travel
경기 과천시 중앙동 6-2번지 경기도 과천시 중앙동에 위치한 과천시민회관은 1995년 10월 7일 39,485평방미터의 부지에 지상 4층, 지하 3층 규모로 개장되어 각종 문화 체육시설을 갖추고 시민을 위한 다양한 문화 체육교실 운영 및 문화행사 유치로 지역의 문화 체육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대중교통] * 지하철 : 4호선 정부 제2청사역과 연결되어 있다. * 버 스 : 사당전철역에서 과천시 경유 모든 버스 이용 가능.
경기 수원시 권선구 매산로3가 산 2-1 수원시민회관은 팔달산 중턱에 위치하여 전망이 좋으며 대지 2,271평 건물 972평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각종 행사개최, 공연, 강연회, 모임, 학술연구회등이 개최된다. 학술연구회 등 주민들 이용시 연중 무휴로 대관하고 있으며 이용 요금은 시민회관으로 문의하면 언제나 친절히 설명해 준다. [대중교통] * 수원역 - 경기도청방향(2KM), 수원역에서 남문방향 1번, 2번 버스 승차 → 수원소방소 하차 →권선보건소 방향 700m
부산 금정구 구서1동 481 부산 동.북부권 시민들의 문화예술 공간으로 2000년 5월 개관했다. 전국 자치구 단위로는 가장 현대화된 문화시설을 갖춘 문화회관으로 꼽힌다. 수준높은 예술과 대규모 행사를 주로 하는 대공연장과 연극, 무용 등 소규모 공연을 하는 소공연장이 있다. 모든 장르의 예술을 수용, 전시할 수 있는 기획 전시실과 아름다운 밤을 수놓을 야간 경관조명, 언제든지 부담없이 가족과 함께 찾을 수 있는 야외광장, 다양한 취미생활로 정서함양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생활문화관 등이 갖추어져 있다. 이를 통해 수준높은 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지역문화 창달과 문화 정보 중심 센터의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이 문화회관은 부산의 관문인 경부고속도로 진입부에 위치, 타 지역과의 만남의 광장이 ..
부산 동구 범일2동 830-31 시민의 문화산실이자 창달지로서 1970년 9월 13일 착공하여 1973년 10월 10일 2,020석 규모의 대강당과 450석 규모의 소강당을 갖춤으로서 새로운 장을 열게 되었다. 시민회관이 개관하기 이전에는 실내 문화행사는 물론 무대공연과 미술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시설이 전무하여 옥내 문화행사를 하는데 장소를 얻지 못해 공간활용에 많은 애로가 많았던 게 사실이었다. 이렇듯 1970∼80년대 부산의 대표적인 문화의 산실로써 명실상부한 문화도시의 기틀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시내 중심지에 위치한 시민회관에서는 각종 연주회, 오페라, 무용 등 무대공연과 함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강연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시민회관의 중, 소전시실에서는 부산예술제 등 각종 작품전시..
부산 동구 범일동 825-3 눌원아트홀은 1990년 8월 (주)고려산업이 문화예술공간이 절대 부족한 부산에서 음악, 무용, 연극, 영화, 전시 등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만든 문화공간이다. 기업이윤의 사회환원 차원에서 탄생되어 더욱 의미가 있는 눌원아트홀은 시민회관 인근에 위치하고 있어 비교적 교통이 편리하다. 눌원빌딩 지하에 마련된 134평에 250석 규모의 극장과 85평의 제1전시실, 35평의 제2전시실을 갖춘 다목적 공간이다. 또한 건물 내에는 은행, 스포츠센터, 식당, 음악이 있는 커피숖 등의 편의시설이 갖추어져 있어 관람객들에게 편리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눌원문화재단에서는 '눌원문화상'을 제정하여 부산, 경남지역의 각 분야에 업적이 있는 사람에 대해 시상하고 있다..
인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 239 개관연도는 1991년, 대공연장(실내체육관) : 436평, 무대 50평,소공연장 : 276석, 무대 19평, 전시장 : 전시실 24.3평 [대중교통] ★서울 신촌시외버스 터미널 강화 시외버스터미널→ 송해방면 버스승차 → 서문하차
인천 계양구 계산2동 724 ★대지 - 3,327평 ★ 연건평 - 2,896평 ★ 공사기간 - 1989.7.15 ~ 1990.10.18 ★ 개관일 - 1996.10.4 ★ 주요시설 - 전시실 : 220평, 연습실 : 2개소(65평형), 분장실 : 5개소(개인3,남여단체2), 야외전시장 : 200평, 주차장 : 200평(지상 157평, 지하 43평),기타 : 귀빈실, 조명실, 영사실, 무대기계조정실, 지휘자실, 연주자실, 휴계실, 매표소 등
인천 서구 가정동 430-21 2000년대의 국제문화 도시 및 서해안시대의 해안관문도시로서 향토문화 에술을 창달한다는 취지로 건립되어 인천광역시민들에게 수준높고 다양한 문화예술의 향유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예술 할동의 전위적인 산실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995년 3월 18일 개관을 시작하여 지역 문화 창달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인천지역 문화예술인들에게 활동의 터전을 마련하여 진정한 문화의식을 함양케하고 문화예술인과 지역 주민, 청소년들을 위한 자연스런 만남의 장소, 교육의 장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문화예술만이 아닌 지역 교류의 터전이 될 문화예술의 전당으로서 지방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인천 남동구 구월동 1408 '국제문화도시-인천'을 표방하며 향토문화예술을 창달하기 위해 건립된 문화회관이다. 수준높고 다양한 문화예술의 향유 기회를 제공하며 지역 예술활동의 산실 역할을 수행해 오고 있다. 인천지역 예술인들에게 활동의 터전을 마련하여 진정한 문화의식을 함양케 하고 있다. 본관을 중심으로 동.서측 24m 간선도로와 올림픽공원 북단의 폭 40m 만수로를 배치했다. 인접 농산물 시장, 시외버스 터미날, 쇼핑센터 및 지하철 노선 연결로 인천 시민들의 자연스러운 접근을 유도하고 있다. 회관 조형물은 수도 서울의 공로, 해상관문이며 우리나라의 교통, 문화, 상업 예술의 중심지가 될 국제 도시성과 인천의 지역적 특성을 고루 조화시켜 한국 속의 인천, 인천 속의 한국을 나타낼 수 있도록 상징화, 건물..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산26-155번지 서울 서대문 홍은동에 위치하여 1993년 10월 15일 개관한 서대문문화체육회관은 지상 3층 지하 1층의 규모와 대공연장, 소공연장을 비롯 전시장, 문화의 집을 갖춘 음악, 연극, 무용 등 다목적인 공연공간이며 영사시설을 설비한 공연장입니다. [대중교통] *버스 : 8, 73, 74, 552, 806 (서대문 구청앞 또는 홍은3동 사무소앞에서 하차하여 도보로 5분 소요) *지하철 : 3호선 홍제역 하차 (서대문구청행 마을버스를 타고 서대문 구청앞 또는 홍은3동사무소 앞 하차 도보로 5분 소요)
서울 서초구 양재동 202번지 예술의 생활화에 기여하는 최첨단 시설의 종합예술극장인 문화관대극장은 1991년 3월 16일에 개관하여 빌딩숲에 둘러싸인 어느 곳 과는 달리 우면산 기슭, 다시말해 대자연의 정취 속에 자리하여 신선한 공기를 마시며 문화예술은 물론이며 휴식과 레저, 스포츠 등을 다양하게 즐길 수 있으며 완벽한 주차시설과 편리한 교통을 갖추고 연극, 음악, 무용 뮤지컬, 오페라 등 다양한 문화행사를 개최하여 정서적으로 메말라가는 현대인의 정서함양과 풍요로운 마음의 여유를 드리는 곳입니다. 서울교육문화회관은 관객으로부터 사랑받는 "고객과 가장 가까이 있는 문화 예술공간"으로서 10만 여평의 시민의 숲에 둘러싸여 있는 도심 속의 휴양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승용차] *경인고속도로 I.C에서 자동차..
서울 종로구 동숭동 1-130번지 1981년 설립하여 개관한 문예회관은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대건축 양식의 붉은 벽돌건물로서 개관이후 예술성이 뛰어난 순수 창작물의 발표 무대를 제공하고 있는 공연장입니다. 그리고 해마다 연말에는 서울 국제무용제와 국제연극제가 화려하게 열리고 있으며, 이것 이외에도 다양한 공연과 행사가 자주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문예회관은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예술과 대학로 문화가 어우러져 수준높은 문화예술공간으로 발돋음 하고 있으며 주말에는 나들이나 산책하는 장소, 서울의 명소로 각광받을 정도로 서울 시민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곳입니다. (휴일은 매년 1월, 7.8월중 비정기적으로 휴관, 공연에 따라 다릅니다.) [대중교통] *지하철 지하철..
서울 광진구 능동 1981년 준공된 이래 개관 18년째를 맞이하는 오페라하우스풍의 리틀엔젤스예술회관은, 1962년 5월 5일 창설된 초등학생과 중학생으로 구성된 세계의 유일한 어린이 민속예술단으로 , 로 전 세계의 40여개국 이상을 순방하며 우리의 문화와 예술을 알리는 그들의 아름다움을 위해 건설된 공연장입니다. 음악, 무용, 연극 등의 공연예술은 물론 만찬회장과 국제회의장으로서도 손색없는 격조 높은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전통문화를 꽃피우고 동서문화교류의 장으로 꿈과 희망의 장소로 손꼽히는 곳입니다. 주요시설로는 최고의 음향과 조명시설을 보유한 대강당과 소강당 2개, 그리고 2개의 전속예술단체 연습실, 무대세트 제작실 등이 있습니다. 리틀엔젤스 예술회관이 보유한 리틀엔젤스 예술단과 유니버설 발레단은 각 분야..
서울 중구 장충동2가 산14-67번지 국립극장은 내부조명 시설과 음향 시설이 세계적 수준으로 갖춰진 공연장으로서, 한국 고유의 전통미와 함께 현대적 감각 또한 갖춘 공연장입니다. 처음에 국립극단만으로 시작된 국립극장은, 정치 사회적인 격변 속에서도 60년대에는 국립창극단, 국립무용단, 국립오페라단이 가세하였고, 70년대에는 국립발레단과 국립합창단, 90년대에는 국립국악관현악단의 탄생으로 그 명맥이 이어졌습니다. 남산 기슭에 터를 마련하여 번듯한 오늘날의 국립극장은 1973년에 지어졌습니다. 1,518석의 대극장, 453석의 소극장, 1,300석의 놀이마당 뿐만아니라 극장을 찾는 사람들에게 휴식과 만남의 장소를 제공해 주며, 공연에 관련된 자료를 열람할 수 있는 문화사랑방 또한 위치해 있습니다. 특히 국립..
Address: 서울 서초구 남부순환로 2364 (서초동) Tel: 02-580-3333 국립국악원(國立國樂院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은 현대 한국사회에서 국악계를 이끌어 가는 국악의 종가(宗家)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국립국악원이 잇고 있는 국악 종가의 맥은 1,400여년이라는 긴 역사를 통해 전승되고 있습니다. 국립국악원의 여러 활동은 전국 20여개의 지방 자치정부에서 운영하는 공립 국악연주단체와 국악 전문인을 양성하는 21개 대학의 국악과와 국악 영재를 길러내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과정, 그밖에 대략 400여개로 추산되는 전문 연주단체와 국악애호 모임의 활동에 크고 작은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국립국악원의 공연을 통해 ..
부산 남구 대연동 산213-4 부산의 문화를 창출하는 전당이다. 시민들의 다양한 문화예술 욕구를 순화, 충족시키는 역할을 다하고 있다. 음악, 무용, 연극, 오페라 등의 공연은 물론 전시실, 다목적 국제회의장, 야외공연장, 음악자료실까지 갖춘 부산 최고의 종합문화예술공간이다. 지난 1988년 7월 1,700석 규모의 대강당을 준공한 것을 시작으로 1991년 10월 209석의 소강당, 1993년 5월 886석 규모의 중강당의 개관했다. 우리나라 전통가옥의 특성을 살린 대강당을 본채로 중, 소강당을 사랑채로 비치하고 처마와 추녀의 전통미를 살려 장중하면서도 아담한 조형미를 갖추고 있다. 중, 대강당에서 이루어지는 공연의 경우에는 부모가 공연을 관람하는 동안 아이들을 맡아주는 유아놀이방을 운영하고 있다. 매주..
경기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1117번지 경기도문화예술회관은 도민의 문화예술 욕구 충족을 위해 다양한 공연, 전시를 개최함은 물론 지역 문화 예술인의 활동장소 제공을 위해 '91.6.27일 설립된 도민의 문화공간이다. 따라서 도민의 다양한 문화적 욕구 충족을 위하여 4개도립 예술단 (극단. 무용단. 국악단. 팝스오케스트라) 운영 하고 있으며 문화교실, 국악교실, 무용지도강습회, 예술단 순회공연,토용상설무대, 한여름 야외무대, 무료영화상영등을 통한 전통문화 알리기 및 삶 의질 향상에힘쓰고 있다. 또한 다양한 편의시설을 설치하고 공연장, 전시장을 상시 개방하여 주위의 자연환경과 더불어 도민의 놀이문화 및 휴식공간 또한 제공하고 있다. [승용차] 수원톨게이트 → 법원사거리에서 좌회전 → 문화예술회관(20분 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