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문화ㆍ행사/박물관 (152)
국내여행 Travel
강원 강릉시 지변동 123번지 강릉대학교 강릉대학교의 전신이었던 강릉교육대학의 소재지인 강릉시 초당동 57-2번지에서는 1968년 교사 신축공사 중 선사시대로부터 삼국시대에 이르는 유물이 출토됨으로써 이곳이 유서깊은 유적지임이 확인 되었다. 이것을 계기로 해서 이듬해인 1969년에 향토관이 설치되었는데 이 향토관이 1973년 그동안 계속적으로 수집 정리한 역사 및 민속자료 312점을 확보하여 민속박물관으로 개칭 발족하였고, 1979년 3월 1일 본 대학이 강릉대학으로 승격되면서 박물관으로 개편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74년 2월에 한국대학박물관협회에 가입하여 각 대학 박물관과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이 박물관은 1974년 11월에는 문화공보부로부터 매장문화재 보존협약기관으로 지정 받기도 하..
강원 원주시 소초면 학곡리 치악민속박물관 치악민속박물관은 치악산의 기슭에 자리잡고 있으며, 울창한 소나무와 꿩에 대한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치악민속 박물관은 金 龍 植 선생님(현재 박물관장)의 20여 년간 우리문화 유산에 대한 남다른 애착과 사명감으로 유물을 수집한 결과 도자기/민화/서화/고서/목기류를 비롯한 민속품 1,500여 점을 기초로 1997년 6월 4일 문화 관광부에 등록하고 같은 해 7월 13일 개관하였다. 현재 다양한 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하고 있으며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일일 박물관 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전시실은 제1전시실, 제2전시실, 제3전시실, 야외전시로 이루어졌으며, 제1전시실은 고려시대부터 조선후기까지의 도자기 변천사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전시..
경기 남양주시 화도읍 구암리 121-1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장식미술박물관은 서유럽의 장식미술품을 전시, 보존 및 연구하는 전문박물관이다. 1- 3층 전시실 공간을 합쳐도 1백여평이며, 전시품은 350여점 정도이지만 소장품 하나하나는 모두 국내에서 보기 힘든 것들이다. 장식 미술박물관을 제대로 관람하려면 2층과 3층을 거쳐 1층 순으로, 거꾸로 둘러보는 것이 좋다. 현재 2층에는 '영원한 전설, 중세 기사'라는 제목으로 상설전시 중이며, 3층에는 이태리 베네치아 가면 및 글라스와 멕시코의 똘떼까 유물이 기획 전시 중에 있다. 장식 미술박물관의 1층에 들어서면 박물관이 자랑하는 우수에 찬 표정을 한 프랑스 도자기 인형이 관람객을 반긴다. 또한 밀납 인형과 깐느 영화제 포스터가 이곳을 장식하고 있다. 전..
경기 용인시 양지면 양지리 산 6-1 용인시 양지리의 울창한 숲을 배경으로 삼아 숲 곳곳에 옛 돌조각을 배치함으로서 애호가의 심미안을 만족시키며, 박물관을 찾는 관람객에게 자연의 활력과 문화의 향기를 함께 느낄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옛 돌 조각의 실물 전시를 통해 선인의 숨결을 느끼게 함과 동시에 자연스런 역사체험의 장이 되게 하여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지역박물관으로서 지역의 우수한 전통문화를 개발, 발전시키고자 한다. 또한 경기도 지역에 위치한 박물관, 전시장 등과 연계하여 지속적인 전시상품을 개발함으로서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석조미술이란 석재로 이루어진 모든 조형미술을 말한다. 세계 어느 나라에서든 오늘날까지 그 원형을 훌륭하게 보존하고 있는 것은 석조미술이라는 사실은 두말할..
대전 대덕구 오정동 한남대학교 133번지 자연사박물관은 한남대학교 부설 박물관으로, 식물, 동물, 곤총, 화석 및 자연사관련 자료 등을 수집하여 보존, 전시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생물에 대한 호기심과 환경과의 관계, 생태계 보존 등 현존 생물의 다양성을 이해하게 하고 미래의 과학자적 정신을 갖도록 하는 교육의 장이 되도록 하며, 대학생 뿐만 아니라 유치원, 초·중고 학생들을 관람시킴으로써 자연과학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지역사회에 봉사하는 한남대학교로서, 대학의 홍보 역할을 담당한다. [연혁] -1983. 4. 18 : 한남대학교 자연사박물관 설립 (도서관 5층, 130평) -1987. 10. 26 - 10. 30 : 제1회 나방특별전 -1988. 10. 21 - 10. 25 : 제2회 조류 천연기념물 ..
서울 송파구 신천동 예전빌딩 7-26 95년 5월 5일 건립한 삼성어린이 박물관은 기존 관람식 박물관을 탈피하여 어린이 눈높이에 맞추어 탐구와 표현이라는 주제아래 0세에서12까지의 어린이가 직접 전시물을 만져보고(hands-on), 체험해 보는 새로운 개념의 박물관이다. 20인 이상 사전 예약을 해야하며 주요시설로는 과학탐구, 인체탐험, 어린이방송국,신체표현과 도전, 멀티미디어 탐구,또래끼리, 아트워크숍,자유와 표현등이 있다. [대중교통] * 지하철 2호선 잠실(8)-도보 5분 8호선 잠실(3)-도보 3분 * 버스 롯데월드 21, 21-2, 212, 415, 555-2, 56-2, 569, 63-1, 63-2, 65, 812-1, 813, 813-2, 30(좌석), 64(좌석), 64-1(좌석)
서울 서초구 양재동 67-5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유물을 전시하고 있는 토기 전문박물관으로 전시품목은 토기 중심이며, 이와 관련된 금속제품, 석제품을 일부 전시하고 있다. 소장하고 있는 유물의 대부분은 원삼국, 삼국시대의 토기로, 특히 회백색의 연질토기는 종류가 다양하며 지역, 시대적인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대중교통] * 지하철 3호선 양재
서울 서초구 서초2동 1376-2 1993년 2월 16일 개관한 외교 박물관은 대한민국 정부수립이후 반세기에 가까운 한국외교사의 발자취를 더듬어 각처에 산재해 있는 외교관련 역사적 자료및 기념품을 발굴,수집,정리및 전시하여 일반인들의 관람을 통한 연구및 교육에 이바지 하고 있다. [대중교통] * 지하철 3호선 양재(8)-도보 5분거리 * 버스 양재역 11, 239-1, 36, 414, 66, 66-1, 78-1, 83-1, 97-2, 99-2, 1005(좌석), 42(좌석), 45(좌석), 45-1(좌석), 46(좌석), 736-1(좌석), 909(좌석), 910(좌석), 916(좌석), 917(좌석), 917-1(좌석)
서울 서초구 남부순환로 2354 (서초동) 02-580-3160 우리 나라 최초의 국악전문자료관으로 1995년도에 문을 열었다. 음악사적 가치가 있는 국악 관련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보관, 전시하는 곳. 청소년과 일반인, 외국인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국악의 산 교육장이자 전통 예술의 새로운 명소로 각광받고 있기도 하다. 악기전시실, 고문헌실, 국악사실, 명인실, 음향, 영상실 등 5개의 전시실과 국악도서실, 국악자료 판매실을 갖추고 있다. 월요일을 제외한 연중 무휴로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무료 개방된다. 국립국악원 교육 연구동에 위치. ◎ 국악박물관 관람문의 * 관람시간 : 09:00 ~ 18:00 (월요일 및 1월 1일 휴관) * 관 람 료 : 무료 * 문의전화 : 02-580..
남산골 한옥마을은 청학이 사는 신선의 동네라고 해서 청학동이라고 불리었던 곳에 자리잡고 있다. 이곳에 가면 마치 타임머신을 탄 듯 우리 것이 익숙하고 자연스러워진다. 남산골 한옥마을 자리는 본래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되는 군부대가 있던 자리였는데, 각지에 흩어져 있던 한옥 5채를 옮겨 복원하고 주변을 공원으로 꾸며 1998년 4월 18일 남산골 한옥마을이라는 이름으로 개장했다. 이곳에는 조선시대 왕족과 사대부, 중인 등 각 계 각층의 전통가옥이 생활용품까지 갖추어 복원되어 있으며, 한옥 내부에서는 예절 강좌를 비롯해서 서예, 국악, 가야금, 시조, 오죽 공예 등 전통문화와 다듬이질, 자수 등의 생활문화를 직접 시연하고, 배울 수도 있다. 또한 서울 정도 600년을 맞아 만들어진 타임캡슐광장까지의 산책로는 ..
서울 성북구 성북동 330-577 본 박물관은 한국전통목가구를 수집,보존, 전시하는 특수 전문 박물관으로 한국 전통 주생활과 전통 실내장식을 한국가구와 함께 쉽게 알수 있도록 특성을 살리고 있다. 특히 서울 중심 중앙청에서 10분 거리의 성북동에 위치하여 민속촌에 가기힘든 외국인이 한국 주생활 전통을 피부로 느끼고 갈수 있는 생활사 공간임. 불특정 다수의 공간이 아니라 각 개인의 특징적인 수집으로 특성을 살린 인간적인 전시분류 방법을 도입, 한국전통가구를 종류별)사랑방,안방,부엌등) 재료별로 전시하고 있다. [대중교통] *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 * 버스 성북국교 85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6가 340-2 (삼성출판사내) 최근 간행된 도서에서 부터 조선.고려시대의 도서와 활자, 인쇄기기, 문방사우 등의 출판관련 자료들이 소장되어 있어 우리나라 출판인쇄문화 1천3백년의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게끔 하고 있다. 이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도서류와 자료는 모두 10만여점으로 여기에는 보물로 지정된 10여점의 국보급 유물과 40여점의 문화재급 귀중품이 포함되어 있다. 전시장은 상설전시장과 특별전시장으로 나누어 상설전시장에는 활자문화의 발달사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연도별로 전시했다.훈민정음 원해본,금속활자본 남명천화상진도 등 유물들이 있다. [대중교통] * 지하철 2호선 당산 * 버스 당산역 100-1, 103, 107-1, 108, 112, 125, 160, 303, 412, ..
경북 영덕군 남정면 원척리 267-9 화석은 지질시대로부터 퇴적암에 보존된 ① 생물의 몸체가 그대로 남아 있는것, ② 퇴적암에 생물체의 형태가 그대로 찍힌 자국, ③ 생물의 생활흔적이 지층 중에 그대로 남아 있는 것, ④ 생물의 배설물 등을 일컫는 것으로 과거 지질시대(1만년 이전)에 살았던 생물의 유해와 유적으로 과거, 현재, 미래를 연결시켜주는 고리이며 자연사의 기본적인 증거 자료이다.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생물의 화석은 박테리아와 남조류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바다에서 무리지어 살다가 동심원상의 모양을 갖는 스트로마톨라이트(Stromatolite)를 만들었다. 이들 중 가장 오래된 화석은 서(西)그린랜드(West Greenland, 약 38억년전 선캄브리아)퇴적층에서 발견하였다. 이러한 지구상의 ..
서울 도봉구 쌍문동 497-15 우리나라 최초의 옹기민속박물관. 고 정병락씨가 사재로 설립한 것이다. 통일신라시대부터 최근의 옹기까지 250여종 3,300점이 진열되어 우리 민족의 옹기변천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옹기와 함께 시렁,살강,풀무,멍석,절구,쇠스랑,작두,삼태기 등 각종 생활용품과 농기구들도 전시돼 있다. [대중교통] * 지하철 4호선 수유(4)-덕성여대 후문 * 버스 서라벌중고교 127, 2, 222, 23, 25, 27, 3, 361, 439, 522-2, 710, 8, 8-1, 803, 154(좌석)
서울 종로구 청진동 174-1 한국잡지박물관은 한국잡지협회가 한국잡지 100년을 기념해서 우리민족의 발자취와 세대의 흐름을 잡지속에 찾고자 1992년 12월 1일개관했다. 현재 잡지박물관에서는 모두 2천7백38종,4천6백46권의 역사적인 잡지가 소장되어 있다. 잡지박물관 자료 중에는 일본 동경유학생들이 발간한 한국최초의 잡지(1896년 창간)를 비롯해 한국근대잡지의 효시인 (1908년 창간),독립협회에서 발행한 (1896년창간)등,역사적으로 희귀한 잡지의 창간호가 전시되어 있으며(1954년 창간)등의 현대사와 운명을 같이한 잡지의 창간호와 기타 전질이 전시되어 있다. 한국잡지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자료는 모두 2,738종,4,870권이다. [대중교통] * 지하철 1호선 종각(1)-교보문고 방향 5호선 광..
서울 종로구 내자동 201-11 경찰의 발자취를 한데모아 이곳을 찾는 모든이에게 경찰의 변천과정과 발전상을 한눈에 보고 느낄수 있도록 각종 역사의 기록들을 문헌및 전문가의 고증을 거쳐 전시하고 있다. [대중교통] * 지하철 3호선 경복궁 5호선 광화문 * 버스 광화문 123, 129, 131, 134, 135, 135-1, 135-2, 136-1, 142, 146, 147, 150, 151, 153, 154, 155, 156, 157, 158-2, 158-3, 159, 20, 23, 30, 30-1, 302, 38, 41, 5-1, 53, 542, 588-2, 8-1, 83, 83-1, 89, 1003(좌석), 1005(좌석), 1007(좌석), 129-1(좌석), 158-4(좌석), 2(좌석), 41(..
서울 종로구 동숭동 한목 B/D 1-113 아프리카 지역 30여개국, 70여개 부족의 미술품 250여점이 전시돼 있다. 전통적으로 탈문화가 발달했던 아프리카 지역 여러 부족들의 갖가지 탈들은 흔히 볼 수 없는 볼거리. 샘터사 뒷편 한목빌딩 5층에 있다. 이 건물 6층에 가면 아프리카 민예품도 구할 수 있다. [대중교통] * 지하철 4호선 혜화(2) * 버스 혜화역 12, 13, 20, 222, 3, 361, 5-1, 63-1, 113(좌석), 902(좌석)
서울 중구 태평로1가 62-12 국내 첫 금융사 전문 박물관. 우리나라 은행으로서는 처음으로 창립 100주년을 맞이한 조흥은행이 국내 금융발전사를 한 눈에 조망하고 일반인의 금융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1997년 2월 설립했다. [대중교통] * 지하철 1호선 시청(2) 2호선 시청(2) * 버스 광화문 123, 129, 131, 134, 135, 135-1, 135-2, 136-1, 142, 146, 147, 150, 151, 153, 154, 155, 156, 157, 158-2, 158-3, 159, 20, 23, 30, 30-1, 302, 38, 41, 5-1, 53, 542, 588-2, 8-1, 83, 83-1, 89, 1003(좌석), 1005(좌석), 1007(좌석), 129-1(좌석), ..
서울 중구 충무로1가 서울중앙우체국 21 서울 중앙우체국 4,6층에 있다.한국 체신 100년의 발자취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186개국의 우표를 전시, 우표를 통해 다양한 세계 문화 를 접할 수 있다. [대중교통] * 지하철 4호선 명동(5)-신세계백화점방향 * 버스 남대문시장 124, 153, 156, 16, 161, 20, 25, 26-3, 288, 3, 32, 328, 328-1, 34, 34-1, 361, 41, 45, 48, 50, 54, 56, 57, 6, 62, 73, 74, 745, 76, 83, 84, 85, 41(좌석), 740(좌석), 755(좌석), 797(좌석) 롯데·미도파백화점앞 123-1, 133, 151, 152, 152-1, 16, 161, 165, 165-3, 235-1..
서울 중구 정동 3 우리나라 최초의 골프박물관이라 할 수 있는 곳, 중고 골프용품점을 운영하는 서상은씨가 골프의 뿌리와 발전사를 알아보겠다는 소박한 의도에서 사재를 털어 하나둘씩 사모은 골프용품들을 진열해 놓은 작은전시장, 60평에 불과한 작은 전시장에 들어서면 영국 왕실의 여인들이 사용했다는 1800년대 히코리(북미 호도과나무) 재질의 우드드라이버를 비롯한 롱 노우즈클럽, 대장간에서 쇠를 두드려 만든 아이언등 옛클럽 1천여 세트를 비롯 하여 가죽 골프백 70여개등 골프의 역사를 한눈에 알아볼수 있는 용품들이 빼곡이 진열되어 있고,사면 벽에는 서씨가 적접 조사해서 쓴 골프의 기원과 변천사, 어렵게 구한 진귀한 사진들을 담은 액자들이 부착되어 있어 한눈에 골프의역사를 돌아볼 수 있게 잘 꾸며 놓았고, 7백..
서울 중구 봉래동2가 122 서울역사 내에 있는 철도박물관에 가면 철도 1백년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증기기관차가 입체모형으로 제작·전시되어 작동원리를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 1,2층으로 구성된 이 박물관은 주제별로 총 6백19점의 내용물이 전시되어 운수,전기실,역사실,차량실, 시설, 보선실에서는 철도의 과거. 현재 모습을 고속철도 홍보관에서는 첨단 안내시스템을 이용 철도의 미래모습을 소개함으로써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대중교통] * 지하철 1호선 서울역 * 버스 서울역 101, 124, 128, 129, 133, 135, 135-1, 135-2, 142, 143, 150, 151, 152, 152-1, 156, 158, 158-2, 158-3, 16, 161, 23, 25, 26, ..
서울 중구 남산동3가 동경BD 2층 13-21 서양 복식이 도입된 이후 오늘날까지 반세기에 걸친 한국 여성의 양장 변천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의상전문박물관. 한국에 도입된 서양 의상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조명할 수 있다. 국내외 유명 디자이너의 작품을 비롯 역대 영부인, 김경오 여류비행사, 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 등 사회 저명인사와 역대 미스코리아, 유명 연예인 등이 실제로 입었던 의상들이 전시되어 있다. 패션업 종사자들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다양한 패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대중교통] * 지하철 4호선 명동(2)-프린스호텔 좌측 * 버스 퇴계로2가(명동입구) 136-1, 139, 153, 161, 20, 3, 34, 34-1, 361, 45, 56, 588, 6, 745, 76, 77-1, 8..
경북 경주시 석장동 동국대학교경주캠퍼스 707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의 박물관은 불교유물의 수집, 정리, 전시와 더불어 한편으로는 유적의 발굴조사와 연구 등을 목적으로 황수영(黃壽永, 동국대학교 전총장) 및 장충식(張忠植) 교수(고고미술사학과) 등 뜻있는 분들의 힘을 모아 1983년 4월 10일에 개관하였다. 개관 당시에는 도서관 건물의 4층에 지역실을 마련하고, 3층에 사 무실을 두어 동국대학교 박물관 경주분관으로 출발하였다. 이후 1985년 4월에 진열실을 도서관 2층으로 확장이전하고 사무실은 3층에 옮기게 되었으며, 1994년 6월에 전시실은 그대로 두고 사무실 및 부속시설을 전시실 옆 현재의 위치로 확장하였다. 박물관에서는 현재 등록된 유물 1500여점과 참고품을 포함하여 약 3000여점의 유물을 ..
대전 대덕구 오정동 한남대학교 133 본 백제문화박물관은 1982년 6월 개관한 이래 현재 470여평의 전시실을 갖추고 선사시대 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자료 6,500여점을 축적함으로써 명실상부한 종합박물관으로 면모를 갖추고 있다. 본 박물관의 특색은 역사, 고고, 민속, 예술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 정리, 보존, 전시하고 이들을 조사·연구하여 문화 예술 및 학문의 발전과 일반대중의 문화교육에 이바지하는 한 편, 기독교 대학의 한 기관으로서 기독교 전래과정 및 발전사를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 록 그 자료를 수집, 보존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지역적인 특성을 살려 충청지역 전래의 고고민속유물 등의 자료를 수입하여 보존 전 시하면서 전통적인 생활문화를 복원, 그 소중한 가치를 연구 발표하고,..
대전 유성구 궁동 충남대학교 220번지 충남대학교 박물관은 1968년 4월 28일에 설립하여 대전 충남지역의 전통문화를 수집하고 계승 발전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특히 발굴조사를 중심으로 하여 향토문화 분야의 자료를 조사 연구하여 이를 수집, 보관, 전시 함으로써 본교의 교직원 및 학생은 물론 나아가서는 일반 시민들의 향토 문화 보존과 문화의식 고취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박물관 연혁 1968. 4. 24 충남대학교 부속박물관 개관 (대전 문화동 캠퍼스, 도서관건물 사용) 1970. 백제연구소 병설운영 1974. 국립박물관 진영장(12개)을 대여 받아 전시실 운영 (48평) 1979. 백제연구소 분리운영 1982.5.25 대덕캠퍼스 도서관 1층으로 이전 (367평,전시실 1개소145평,수장고 1..
대전 서구 도마2동 배재대학교 439-6번지 본 대학 박물관은 한국 토기전문 박물관과 배재 역사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토기박물관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모든 토기를 수집하여 소장할 목적으로 조성되었으며, 배재역사관은 한국 최초의 근대교육기관인 배재학당과 배재대의 역사적 기록과 유물을 진열하여 전 배재인의 전통의식을 고취하고 긍지를 높이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대전 동구 가양2동 대전보건대학 77 - 3 *설립취지 대전보건대학 박물관은 재학생과 졸업생, 교직원 나가서는 지역주민의 우리문화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키고자 한다. 또한 박물관을 통한 교육을 실시하여 드 성과를 거양하며, 학생의 실습현장으로 박물관 자료를 활용하여 박물관의 이론과 기술을 습득ㆍ육성하는데 이바지한다. *연혁 1992. 3. 1. 박물관규정 제정ㆍ시행 1992. 5. 14. 박물관 설치인가 개설 1998. 10. 18. 박물관 전시실 개관 *문 의 처 전화 - 관장실 : (042) 630 - 5766 - 학예연구실 : (042) 630 - 5767 - 자료정리실 : (042) 630 - 5768 - 보존처리실 : (042) 630 - 5769 팩스 : (042) 628 - 1423 [대중교통..
대전 동구 용운동 대전대학교 96-3번지 우리 나라의 문화유산 자료를 수집,보존,전시하고 이들을 조사 연구하여 문화예술 및 학문의 발전과 교육에 이바지 하는 기관으로 대전대학교 박물관은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하고 있다. 역사,고고,민속,인류학,예술 등 문화 유산의 조사,발굴,수집,보존,전시 및 연구 위에 해당하는 서적 및 사진의 출간 고고학,미술사,민속학 등에 관한 연구 발표 사회교육활동으로의 각종 문화유산에 대한 교육 및 답사 *연 혁 1984년 10월 2호관내 개관 1984년 10월 고암 서정인 선생 각종 유물 561점 기증 1987년 7월 손정목 선생 자기류 60점 기증 1988년 12월 모운 이석희 선생 간재집 목판 2681점 기증 1991년 1월 오홍균 선생 자기 152점 기증 1993년 7월 6..
강원 태백시 소도동 166번지 우리나라의 중요한 에너지 자원이었던 석탄의역할과 그 역사적 사실들을 한곳에 모아 체계적으로 일목요연하게 전시한 곳으로 7개의 실내 전시실과 지하전시실 1개 옥외 야외 전시실 각 2개등을 갖춘 연면적 3,669.3㎡ 전시규모의 세계최대의 석탄박물관으로 특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빠른 속도로 실제 수직갱 1,000m를 내려가는 효과를 연출 하였으며 갱도에서 실제 붕락사고의 위험을 가상체험할수 있도록 하여 보는것 뿐만아니라 즐길수 있는 시설을 갖춘곳으로 잊혀져 가는 석탄에 대한 기억을 되새기는 역사적 교육의 학습장이다. [승용차] ● 수도권 : 중부/경부고속도로→호법IC→영동고속도로→남원주IC→중앙고속도로→제천IC→영월→상동→태백 ● 영남권 : 서대구→금호IC→중앙고속도로→영주I..
경북 청송군 청송읍 송생리 784-107 청송민속박물관은 총 부지 15,120㎡(4,574평)에 연건평 700.45㎡(212평), 전시면적 397㎡(120평)으로 1999년도에 건립되었다. 전시실 주제는 청송의 세시풍속으로, 정월부터 섣달까지 윤달을 포함한 이 지방의 습속을 전시하여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생활의 마디와 리듬을 소개하고 있다. 야외에는 청송에 있었던 주막, 물레방아, 연자방아, 조산, 입석을 전시하여 재래의 야외생활을 체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오랜 세월동안 전송되어온 전통적인 민속문화가 있으나 생활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아름다운 고유의 물질문화, 정신문화가 모습을 잃어가고 있으므로 사라져가는 민속자료를 보존·전시·연구함으로써 우리문화의 뿌리를 생각케 하고 온고지신의 정신을 일깨워 후세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