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여름체험
- 가을축제
- 여름축제
- 주말산행
- 겨울축제
- 제주도
- 등산
- 등반
- 산
- 주말여행
- 명산
- 축제행사.1월
- 축제행사.10월
- 여름철
- 바다
- 축제행사.7월
- 축제행사.9월
- 피서철
- 축제행사.강원도
- 산행
- 축제행사.서울
- 피서
- 축제행사.4월
- 봄축제
- 해변
- 축제행사.12월
- 여름휴가
- 휴가
- 축제행사
- 축제행사.경기도
- Today
- 108
- Total
- 3,962,112
목록문화ㆍ행사 (4792)
국내여행 Travel
조선시대< 朝鮮時代 > 관찰사< 觀察使 >의 소재지< 所在地 >였던 전주에는 시가지를 둘러싼 성곽< 城郭 >이 초기부터 있었으며, 그 성곽에는 동서남북< 東西南北 >에 각각 문< 門 >이 있었는데 선조< 宣祖 > 30년(1597) 정유재란< 丁酉再亂 >때에 모두 파괴되었다. 성곽과 성문이 다시 수축< 修築 >된 것은 영조< 英祖 > 10년(1734)이며 이때 남문< 南門 >을 명견루< 明見樓 >라 하였다. 그러나 명견루는 영조 43년(1767) 큰 화재로 불타버렸다. 현재의 문루는 그 이듬해에 당시의 관찰사< 觀察使 > 홍낙인< 洪樂仁 >이 재건한 것으로 풍남문< 豊南門 >이란 이름도 이때 붙인 것이다. 그후 순종< 純宗 > 융희< 隆熙 > 원년< 元年 >(1907) 도시계획의 일환< 一環 >으로 성곽과..
철도의 역사를 한눈에 보여주는 전문 박물관으로 4천여 점의 각종 유물과 실물차량 18대를 실내외에 진열하였으며, 간단한 휴식처를 갖추고 있어 휴일날 자녀들과 함께 하루 나들이 장소로 무리가 없다. 주요 전시실을 보면 1930~1940년대부터 운행되었던 증기기관차의 실물들이 지하1층, 지상2층의 실내 전시실에 전시돼 있는가 하면 실내에는 서울역의 축소모형, 철도 승무원들의 복장, 각종 신호체계, 기자재 등이 다양하게 구비돼 있다. 실내 전시물 중에는 협궤증기기관차의 설계도면, 최초의 개통식 장면 사진, 철도원에게 수여된 고종 황제의 임명장,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하얼빈역을 묘사한 그림들이 있다. 또한 야외 전시장에는 실제로 운행하는 협궤열차가 있다. 특히 서울역 일대를 87분의 1로 축소한..
나주시 고려 성종 12년(993) 목(牧)이 설치된 이래 조선시대까지 전남지방의 정치·경제·문화의 중심지로서 그 지위를 누려왔다. 나주목사내아는 조선시대 나주목사의 관저이기 때문에 상류주택의 안채아 같은 평면구조로 이루어졌다. 안채는 순조 25년(1825) 건립 되었으며 건물구조는 전통양식 한옥으로 ㄷ자형이다. 특히 안채는 시내중심권에 조선시대 관아 건물이 많이 남아있어 당시 관청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전국의 대표적 지역이다. 목사내아의 처음 건립연대는 알 수 없으나 본체 상량문에 1825(순조25)에 건립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문간채는 1892년에 건립하였다. 이 집의 명칭은 홍재응목사(1860 - 1862)가 금학헌(琴鶴軒)에서 죽었다는 읍지의 기록으로 보아 내아의 명칭이 금학헌 이었음을 알 수..
20여년 한 평생을 제주도민으로 사진을 담아 온 김영갑 선생님의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는 김영갑갤러리두모악. 성산일출봉 여행 중 들리기에 좋은 곳이다. ▷ 제주도 : 이국정취 가득한 은혜의 땅, 환상의 섬
3.1(수) 3·1절을 기념하여 독립운동의 발상지인 봉황각에서 역사적 의의를 알릴 수 있는 독립운동을 재현하는 행사이다. 북한산 도선사에서 3.1독립운동 민족대표 33인을 기리는 추모타종을 시작으로, 도선사에서 봉황각, 솔밭공원에서 봉황각 입구까지 2㎞ 구간에 걸친 길놀이 및 태극기 물결의 거리행진과 의암 손병희 선생 묘소 참배 및 헌화, 봉황각에서의 독립운동 기념행사 등 다채로운 참여행사가 개최된다. 우이동 봉황각봉황각 - 의암 손병희 선생이 새운 건물Tel. 02-901-6114http://www.gangbuk.go.kr/tour/contents.do?key=9259 ▣ 주요행사도선사 타종식(북한산 도선사 종각 앞)길놀이 및 태극기 거리행진(솔밭공원~봉황각)기념식 행사(우이동 봉황각)▣ 기타행사전시행..
3.1(수)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서는 제98주년 3.1절을 맞이하여 무료개방과 함께 전 국민이 참여 가능한 행사인 “서대문, 1919 그날의 함성!”을 개최된다. 서대문, 1919 그날의 함성!2017. 3. 1.(수) 09:00~18:00서대문형무소역사관 - 격동기 민족의 한이 서린 곳Tel. 02-360-8590blog.naver.com/sphh100무료개방: 당일 전 관람객 무료 관람▣ 프로그램본 행사: 시민과 함께하는 3.1독립만세운동재현, 독립선언서 낭독 및 거리행진, 자유와 평화의 대동놀이시민 참여: 민족의 혼이 담긴 무예 택견 공연, 독립 만세 크게 외치기 대회, 독립운동사 퀴즈 왕 선발대회독립운동 체험 : 태극기 가방, 3.1운동 손수건, 윤봉길의사 독립의 등불 만들기 등 6개시민 체험: 태..
미륵사지에 있는 백제시대의 석탑으로 미륵사지 서원(西院)에 자리하고 있으며 국내에 남아 전하던 석탑으로는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탑이다. 높이 14.24m.전면이 거의 도괴(倒壞)되어 동북면 한 귀퉁이의 6층 지붕틀까지만 남아 있으나 본래는 평면 방형탑(平面方形塔)으로서 6층 이상의 탑신을 형성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여 한때 7층설과 9층설 등이 주장되기도 하였으나 1992년 동탑지 주변 발굴에서 노반석(盧盤石)이 발견되어 동탑과 더불어 9층이었음이 밝혀졌다.일제시대에 미륵사지를 조사한 일본인들이 이 탑의 동쪽에 같은 규모의 목탑(木塔)이 있었다고 하였지만 최초 발굴조사를 통해 동쪽의 탑도 서쪽과 같은 석탑이었음이 밝혀진 바 있다.이 석탑은 그 이전에 성행하였던 목조탑의 양식을 나무대신 돌로써 그 구조를 ..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왕금마을 뒷산 구릉지대를 지역주민들은 '모질메'라고 불러 왔다. 이곳은 예로부터 마한 혹은 백제의 궁궐자리로 알려진 곳이다. 위치는 금마산에서 남으로 약 3㎞쯤 떨어져 얕으막하게 전주행 국도변에 자리하고 있는 대지이다. 이 성은 구릉지를 일부 깍아내리고 주변을 흙으로 쌓아올려 세 단으로 나누어 평지를 조성하여 그 안에 건물을 배치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일명 모지밀산성, 왕궁평성, 왕궁리토성이라고도 불린다. 이 성은 1976년 원광대학교 마한 · 백제문화연구소에서 1차 발굴후 1989년부터 부여 문화재 연구소에서 발굴조사에 착수한 이래 그 동안 확인된 유구는 남북 500여m, 동서 236m(폭 3m)의 장방형 성임이 밝혀졌다. 성벽은 일반적인 담장으로 보기에는 규모가 큰 폭이 약..
2.3(금) ~ 2.5(일) 2014년 10. 4.(토) ~ 10. 9.(목)까지 6일 간 진행된 강원국제민속예술축전은 을 주제로 강원도 민속문화 자산확대, 다양한 무형문화의 적극적 발굴·수용, 강원도 무형문화의 세계적 자산가치 상승, 강원 민속의 문화자원 가치 및 차세대 무형문화 리더 육성, 강원문화의 우수성 재발견 및 관광객 증대 등을 목표로 강원도의 다채로운 국내외 민속공연을 관람객들과 함께 했습니다. 강원국제민속예술축전은 2017년 평창비엔날레와의 동시 개최를 계기로 브랜드 리뉴얼을 통해 강릉신날레 2017로 거듭나게 되었습니다. 강원 전통문화의 계승과 보급에 집중했던 2014년 행사와 달리 강릉신날레 2017은 서민들의 삶 속에 이어지는 기층문화를 뜻하는 민속의 개념을 재해석하여 오늘을 살아가는..
2.9(목) ~ 2.12(일) 2017한옥박람회는 전통과 현대, 장인과 현대 건축가와 예술가가 대중과 만나는 시대와 세대를 뛰어넘는 교류의 마당이다. 한옥 속에서 피어나는 한국의 전통문화를 한 자리에서 만나보는 대한민국 최대의 전통 건축·예술·문화 축제이다. 2017 한옥박람회는 전통한옥 설계 및 시공, 건축자재부터 인테리어, 가구까지 전통건축과 현대건축 등 폭넓은 전통건축산업 업체와 기관이 참여하는 최대 규모의 행사입니다. 한옥에 관련된 산업체, 기관, 장인, 일반 소비자가 모두 한자리에 모여 한옥을 짓고자 하는 일반인부터, 한옥을 짓고있는 업체 관계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접할 수 있으며, 함께 한옥산업과 문화가 나아갈 방향성을 논의할 수 있는 자리이다. 한옥은 오랜시간 전통성을 이어온 우리 문화의 정체..
1.27(금) ~ 1.30(월) 제주민속촌에서는 2017년 정유년 붉은 닭띠 해 설날을 맞아 제주민속촌 행사장에서 27일(금)부터 4일간 민속음식 체험, 민속놀이기구 만들기, 민속놀이 체험, 풍물 한마당 등으로 설날 행사를 개최된다. 2017.1.27 ~ 1.30제주 관아 앞 행사장Tel. 064-787-4501www.jejufolk.com제주민속촌 - 제주도의 옛 전통과 생활,음식 옛 그시절의 모든 것을 엿볼 수 있는 곳▣ 프로그램민속놀이 : 민속연, 제기, 딱지 만들기, 윷놀이, 지게발 걷기, 동차타기, 투호놀이, 팽이치기, 굴렁쇠굴리기풍물한마당 : 낮은줄타기, 버나돌리기, 민속 타악기 연주체험민속음식 : 기름떡, 떡메치기(인절미), 빙떡
1.28(토) ~ 1.29(일) 조선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사적지 제116호 해미읍성에서 우리 고유의 명절 설을 맞이하여 전통문화공연 및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설맞이 민속행사를 운영한다. 2017.1.28 ~ 1.2909:00 ~ 17:00Tel. 041-660-2540www.seosan.go.kr해미읍성 :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평지 읍성. 전국 최대 순교성지. 외신 등에서 정원의 꽃밭처럼 아름다운 곳으로 극찬한 곳▣ 프로그램전통문화공연 : 사물놀이, 줄타기전통공예시연 : 다듬이, 짚풀공예, 복식체험, 왕골돗자리, 삼베짜기수문장근무시연 : 조선시대 수문장 근무모습 재현전통음식체험 : 현장에서 직접 만든 인절미, 손두부, 고구마 시식민속놀이 : 제기차기, 투호놀이, 윷놀이, 굴렁쇠 굴리기, 연 만들기국..
1.28(토) ~ 1.29(일)정이 가득하고 즐걸거리가 넘치는 오대감집 잔치에 놀러 오세요! 명절의 정을 느낄 수 있는 오대감집 떡국나누기, 신명나는 전통공연~차례상 차려드립니다. 차례상 해설과 공동 차례상 그리고 재미로 보는 오색도사 신년운세2017.1.28 ~ 1.2914:00 ~ 16:00Tel. 02-2261-0500www.hanokmaeul.or.kr남산골한옥마을 - 옛 한옥의 모습 재현한 야외 박물관▣ 프로그램남산어린이공연 : 떡 하나 주면 안 잡아먹지사물놀이, 풍물 등 에너지 넘치는 연회 공연국악계 신동 공연 : 표지훈, 김도현, 정우연놀애 박인혜 프렌즈전주기접놀이, 풍물판굿 등 옛 마을의 잔치를 지현하는 전통 연회체험 : 떡국나누기, 강정만들기, 신년운세, 가훈쓰기, 부적찍기, 만들기(탈,..
1.27(금) ~ 1.30(월) 전주역사박물관에서는 민족 최대 명절인 설을 맞이하여 설맞이 세시풍속 한마당을 마련하였다. 온 가족이 모여 세시풍속에 대한 이해와 함께 신명나는 전통놀이로 즐겨운 명절을 보내시길. 2017.1.27 ~ 1.3009:00 ~ 18:00Tel. 063-228-6485www.jeonjumuseum.org▣ 프로그램전통놀이 : 윷놀이, 투호, 제기차기어린이 브레인게임연날리기 체험만들기 체험 : 꼬꼬닭 액자, 전통탈, 조립퍼즐, 가방고리우리가족 기념촬영 : 한복을 입고 온 가족 즉석기념촬영
1.27(금) ~ 1.30(월) 우리 민족의 최대 명절인 설을 맞이하여 우리 박물관을 찾는 관람들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하고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서로 화합할 수 있는 즐거운 명절 연휴의 장 마련하고자 한다. 2017.1.27 ~ 1.30전시실 로비 및 야외마당, 어린이박물관 세미나실28일 설날 휴관Tel. 041-833-8562buyeo.museum.go.kr▣ 프로그램전통놀이 : 재미로 보는 윷점, 투호, 제기차기, 팽이치기, 사물놀이, 사방치기가훈 및 명언 써주기전통 '연' 만들기솟대 만들기
1.27(금) ~ 1.30(월) 광주시립민속박물관은 설 연휴 기간인 27일부터 30일까지 2017 설맞이 민속문화 체험마당을 운영한다. 삼재부, 닭 문양 찍기, 민속놀이 체험, 탈춤공연 등의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2017.1.27 ~ 1.3010:00 ~ 17:00Tel. 062-613-5337gjfm.gwangju.go.kr▣ 프로그램민속놀이체험 : 굴렁쇠 굴리기, 팽이치기, 제기차기, 투호놀이, 고리던지기, 윷놀이, 딱지치기삼재부 찍기체험 : 삼재막이 부적 찍기 체험닭 문양 찍기체험민속공연 : 탈춤공연
1.28(토) ~ 1.29(일)세계유산본부(본부장 김홍두) 제주목 관아에서는 우리 고유의 최대 명절인 설 연휴를 맞이하여 오는 1월 28일부터 29일까지 양일간 다채로운 민속놀이마당을 운영한다.2017.1.28 ~ 1.2911:00 ~ 17:00설 당일 1.28(토) : 14:00~17:00 운영제주목 관아 경내 Tel. 064-710-6714culture.jejusi.go.kr제주 목관아지 - 제주도에 내려온 목사가 거주하던 곳으로 조선시대 제주지방 통치의 중심지▣ 프로그램전통민속놀이마당 : 굴렁쇠 굴리기, 투호놀이, 제기차기, 팽이치기, 연날리기, 널뛰기, 윷놀이가족과 함께하는 체험마당 : 복주머니 소원기원, 나만의 목걸이 만들기, 페이스 페인팅전통복식 체험장 : 목관아 경내 진열된 전통복식 착용, ..
1.27(금) ~ 1.30(월) 국립김해박물관에서는 설 명절을 맞아 1.27(금) ~ 1.30(월)까지 설맞이 전통문화행사가 열린다. 2017년 설 명절을 맞아 가족이 한자리에 모여 즐겁게 어울릴 수 있는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고, 다채로운 문화 체험과 공연 등을 통해 소중한 추억 담아보시길. 1.27(금) ~ 1.30(월)10:00~17:00국립김해박물관 일원Tel. 055-320-6821gimhae.museum.go.kr ▣ 행사프로그램민속놀이체험 : 윷놀이, 투호놀이, 제기차기, 팽이차기, 굴렁쇠 굴리기, 긴줄넘기, 널뛰기 등제미로 보는 새해 윷점새해연하장 보내기설맞이 기념품 증정 : 한복 착용자체험프로그램 : 떡메치기, 떡 사먹기, 한복장신구 노리개 만들기풍물놀이 : 삼도사물놀이, 사물판굿대형복주..
1.27(금) ~ 1.30(월) 군산근대박물관에서는 설 명절을 맞아 1.27(금) ~ 1.30(월)까지 “설날 한마당 큰잔치” 행사가 열린다. 2017년 설 명절을 맞아 가족이 한자리에 모여 즐겁게 어울릴 수 있는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고, 다채로운 문화 체험과 공연 등을 통해 소중한 추억 담아보시길^ 1.27(금) ~ 1.30(월)09:00~17:00군산근대역사박물관 일원전통민속놀이 및 공연 등Tel. 063-454-7870museum.gunsan.go.kr설날 당일 1월 28일(토)은 저녁 8시까지 무료 개방연휴기간 한복 착용시 무료 입장 ▣ 행사일정 1.27(금) ~ 30(월) : 제기차기, 투호던지기 등 전래민속놀이, 박물관 특별기획전(아름다운 공유, 군산이야기, 소달구지 등) 1.28(토) 설날..
이 성은 삼국시대에 토성< 土城 >으로 축조< 築造 >되었던 것을 조선시대에 현감< 縣監 > 이담룡< 李聃龍 >이 석축으로 축성하였다. 원래 이 읍성은 둘레가 약 1,000m, 높이가 4m나 되었고, 성내에 4개의 우물이 있었으나, 현재는 성을 쌓았던 큰 돌이 부분적으로 남아 있을 뿐이다. 성은 중국식 방형축성법< 方形築城法 >으로 전국의 중요한 읍성이 개축되던 14∼15세기의 규식화된 축조방법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고려 말기부터 조선 초기에 나타나는 축성법 변천의 모습을 잘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부담없는 가격으로 귤빛추억을 만들어 드리는 감귤박물관은 한때 대학나무라 부르기도 했던 제주감귤의 역사와 문화, 산업현장을 의미있는 관점에서 전시하여 지역학적 의미를 창출하고 있다. 사계절 내내 노랗게 영글은 감귤이 방문객을 맞이하며, 달콤한 맛과 그윽한 향기가 늘 감도는 청정의 공간이다. 제주여행의 추억비타민이 되고자 힐링 여행의 생태체험, 감귤 정유 족욕체험을 비롯하여 감귤을 활용한 쿠키, 머핀, 찐빵만들기 등 여러 체험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또한, 세계감귤전시관과 아열대식물원은 세계 곳곳에서 자라는 제주감귤의 친구들과 파파야, 파인애플 등 각종 이국의 식물을 한눈에 만나 볼 수 있는 공간이다.citrus.seogwipo.go.kr ▣ 관람시설 테마전시실(598㎡) : 감귤의 역사와 종류, 재배방..
12.21(수) ~ 12.25(일) 365일 문화와 예술로 가득한 인천국제공항 ; 컬쳐포트는 연중 4회 시즌별로 특별한 주제에 따라 더욱 볼거리 가득한 정기공연을 마련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대표 곡과 각 나라 거장들의 협업 무대, 한국 전통의 미와 한류를 선도하는 스타들의 무대 등 다채로운 장르와 국내외 정상급 아티스트들로 구성된 고품격 문화 예술 공연이다. 정기공연은 인천국제공항을 방문하시는 분들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공연으로 무료 좌석 예약을 통해 더욱 편안한 감상을 하실 수 있도록 예약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2016년12월21일 ~ 2016년12월25일16:00~17:00 (60분간)이용요금 : 무료인천국제공항 여객터미널 1층 밀레니엄홀cultureport.co.kr ▣ 프로그램 일정12.21 ..
본 영화제는 점점 사라져가는 전통시장의 가치를 보존해나가며 꼭 한번은 가봤을 옛 추억의 전통시장을 발전시켜나가는데 필요한 노력을 하기 위해 기획된 영화제이다. ‘조끄뜨레’란 곁에, 가까이 란 뜻의 제주도방언으로 제주도에서 꼭 한번은 가봐야 할 재미와 감동이 있는 전통시장 매월 4일,9일,14일,19일,24일,29일 장이 서는 만남의 장으로 국내 유일하게 자체 HJB방송국을 운영하고 항상 재미있는 게임과 함께 장을 구경하는 이색적인 시장 JOKETHRE FILM FESTIVAL조끄뜨레+30영화제시상식: 2017년 1월 4일 설문대 여성문화센터Tel. 064-710-4203 ~530mm.net 제주도 - 이국정취 가득한 은혜의 땅, 환상의 섬, 신비의 섬
12.6(화) ~ 3.5(일)'재미있게 놀아보자' 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는 100% 리얼 체험형이며, 시즌 2의 콘텐츠들을 업그레이드하여 더 재미있고, 더 즐겁게 놀면서 관람할 수 있도록 알차게 준비된다.JAPAN MEDIA ARTS FESTIVAL, 도쿄 비디오 페스티벌, TOKYO DESIGNERS WEEK, RCA(영국 왕립예술대학원)등에서 활약한 실력 있는 국내외 아티스트가 다수 참여하여, 총 16개의 인터랙티브 작품으로 이루어진 입체적+공감각적 전시이다.2009년 7월 일본을 시작으로 중국 텐진, 상해 등 아시아 지역을 돌며 7년 동안 166만명의 누적 관람객을 모은, 검증된 인기 콘텐츠로 한국에서는 2014년 빛의정원 이란 이름으로 개최되어 호평을 받았다. 2016년 훌리훌리 시즌2에서 엄선..
12.16(금) ~ 2.12(일)다시 한번 상상 속 짜릿한 공룡세상이 펼쳐진다. 공룡처럼 되어보며, 공룡을 마음껏 그리고 사랑할 수 있는 곳! 2016년, 일산 킨텍스 15만 명 관람객이 방문한 21세기 첨단 디지털 기술로 부활한 LIKE DINO 공룡大전! 짜릿한 공룡세상을 만나는~ 대구 12월 가볼 만한 전시!대구 엑스코 3홀 전시장www.likedino.com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 한라힐링파크 내에 위치한 레오나르도 다 빈치 과학 박물관(약칭: 다 빈치 뮤지엄)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위대한 예술세계 및 과학기술 업적을 국내에 소개하고 우리 인재들이 창조적 미래를 꿈꿀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화가이자 과학자이면서 발명가이자 자연주의자였던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삶과 그의 발명품들을 볼 수 있는 다빈치뮤지엄!www.davincimuseum.co.kr 세기의 천재,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발명품, 창작품들을 전시해 놓은 곳으로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남긴 과학, 기술, 미술 분야의 역사적 고증을 거쳐 제작된 200여 점의 작품을 이탈리아 현지에서 공수하여 보유, 전시하고 있으며, 작품을 단순히 눈으로 보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직접 만지고 동작해..
광성보는 조선 효종 9년(1658)에 설치되었고, 숙종 5년(1679)에 용두< 龍頭 >, 오두< 鰲頭 >, 화도< 花島 >, 광성< 廣城 > 등 소속 돈대< 墩臺 >가 축조되었다. 영조 21년(1745) 성을 개축하면서 성문을 건립하고 안해루< 按海樓 >라 하였다.고종 3년(1866) 프랑스의 극동함대와 공방전이 있었고(병인양요), 고종 8년(1871) 미국의 아세아 함대와 이 성을 유린하여 백병전이 벌어졌을 때(신미양요) 어재연 장군 휘하 전 수비군이 용감히 싸우다 장렬히 순국한 곳이다.광성보의 경역에는 신미양요 때 순국한 어재연 장군의 쌍충비< 雙忠碑 >와 신미순의총< 辛未殉義塚 > 및 1977년 전적지를 보수하고 세운 강화전적지 보수정화비 등이 건립되었다.
도산서원은 한국 유학사의 큰 별이며 해동주자(海東朱子)라 불리는 퇴계(退溪) 이황(李滉)선생이 서당을 짓고 유생을 교육하며 학문을 쌓던 곳이다. 예부터 선비들이 한번쯤 찾아 보기를 소원하던 곳이며, 지금은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조선 선조(宣祖) 7년(1574) 그의 학덕을 추모하는 문인과 유림들이 상덕사(尙德祠)(보물 제211호)란 사묘(祠廟)를 지어 그를 향사(享祀)하였고 전교당(典敎堂)(보물 제210호)과 동·서재를 지어 서원으로 완성하였으며,선조 8년 사액(賜額)을 받음으로써 영남유학의 총본산이 되었다.안동지방에는 유달리 서원이 많다. 하회 류씨에 의해 서애 유성룡 선생과 아들 류진을 모시는 병산서원,의성 김씨의 사빈 서원, 안동 권씨의 도계서원, 배향문제로 시비가 일었던 호계서원, 고산..
이 건물은 조선 중기의 대학자 퇴계< 退溪 > 이황< 李滉 >(1501∼1570) 선생의 종택이다. 원래의 건물은 없어졌으나 1929년에 선생의 13대 사손< 嗣孫 > 하정공< 霞汀公 >이 사림< 士林 > 및 중종< 中宗 >의 협조로 옛 종택의 규모를 참작하여 지금의 터에 새로 지었다. 종택의 우측에는 추월한수정< 秋月寒水亭 >이라는 정자가 있다. 종택은 정면 6칸 측면 5칸의 ㅁ자형으로 높은 석축< 石築 > 위에 둥근기둥과 네모기둥을 혼용하여 지었으며 전면< 前面 >에 솟을대문을 갖추었다. 추월한수정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도산서원 - 퇴계 이황이 서당을 짓고 유생교육하며 학문을 쌓던 곳.
Museum SAN은 사계절 시시각각 변화하는 자연의 풀에서 문화와 예술의 울림을 만날 수 있는 전원형 뮤지엄이다. 산속에 감춰진 Museum SAN(Space Art Nature)은 노출 콘크리트의 미니멀한 건축물의 대가 '안도 타다오'의 설계로 공사를 시작하여 빛과 공간의 예술가 '제임스 터렐'의 작품을 마지막으로 2013년 5월 개관하였다. www.museumsan.org 뮤지엄은 오솔길을 따라 웰컴 센터, 잔디주차장을 시작으로 플라워가든, 워터가든, 본관, 스톤가든 그리고 제임스 터렐관으로 이어져 있다. 본관은 네개의 윙(wing) 구조물이 사각, 삼각, 원형의 공간들로 연결되어 대지와 하늘을, 사람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건축가의 철학이 담겨있다. 사계절 시시각각 변화하는 자연의 품에서 건축과 예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