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해변
- 축제행사.강원도
- 여름휴가
- 여름축제
- 휴가
- 축제행사.10월
- 피서
- 축제행사.1월
- 축제행사.9월
- 피서철
- 산행
- 주말여행
- 등반
- 축제행사.경기도
- 주말산행
- 봄축제
- 가을축제
- 축제행사.7월
- 제주도
- 여름철
- 축제행사.서울
- 축제행사.12월
- 겨울축제
- 등산
- 여름체험
- 축제행사.4월
- 산
- 명산
- 바다
- 축제행사
- Today
- 125
- Total
- 4,007,178
목록문화ㆍ행사 (4786)
국내여행 Travel
경기 포천군 소흘읍 직동리 광릉은 세조(수양대군)와 정희유 씨의 능. 빽빽하고 울창한 자연수림으로 오월의 신록과 겨울 설경,가을 단풍의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는 곳이다. 박물관은 150만 평에 28,000여점을 보유하고 있다. 2,844종의 식물, 15개의 전문 수목원으로 조성된 인조림, 8km에 이르는 산림욕장, 백두산 호랑이 등 15종의 희귀동물을 보유한 야생동물원도 보유하고 있다. 산림박물관은 「나무와 숲, 그리고 인간」이라는 주제로 5개의 전시실과 표본실, 사료실로 구성. 전시 종목은 총 1만 832종에 2만5,534점. 제1전시실은 산림자원과 기술, 제2전시실은 산림과 인간, 제3전시실은 세계의 임업, 제4전시실은 한국의 임업, 제5전시실은 한국의 자연을 주제로 배치돼 있다. 표본실과 자료실에..
경기 여주군 강천면 이호리 395-2 목아불교박물관은 목각장 부문 중요 무형문화재 목아(木芽)박찬수 선생이 1993년 6월 설립했다. 이박물관은 불교미술 및 전통 목공예의 제작과정과 기법을 전승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설립된 전문 박물관으로 현대식 분위기에서 불교문화의 향기를 음미할 수 있다. 지하1층, 지상3층의 전시관에 불화와 불상, 서예품, 동자상을 비롯한 각종 불교관계 유물과 목공예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고, 야외 조각공원에는 미륵삼존불, 비로자나불, 삼층석탑, 백의관음상 등이 자리잡고 있다. [승용차] 중부고속도로 호법 인터체인지·경부고속도로 신갈 인터체인지에서 영동고속도로로 진입하여 여주 톨케이트로 나온 후, 여주대교를 지나 신륵사 앞에서 원주·문막 방면으로 약 5㎞ 정도 걸린다. [대중교통] 강남..
경기 과천시 주암동 658 한국마사회 내 1988년 9월에 개관한 마사박물관은 서울올림픽을 기념하고 전통문화의 보존과 마문화의 육성발전을 위해 개관했다. 국내 유일의 말에 관한 전문 박물관으로 과천 서울경마장내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갹종 말갖춤(안장, 발걸이, 말방울 등)과 말조각, 말그림, 말과 관련된 조선시대의 의학서적, 민속자료, 우역관계 자료 등 1,164점에 이르는 소장자료가 있다. 또 선사시대의 유물 5점을 포함하여, 세계의 말, 경마의 역사, 말그림 우표 등이 전시되어 있다. [승용차] 사당 사거리에서 남태령 방향으로 접어들어 성남 방향으로 진입하면 된다. [대중교통] 서울 사당역에서 시내버스 16번이 운행하고 있으며, 지하철을 이용할 경우 4호선을 타고 경마장역에서 하차.
경기 용인시 모현면 능원리 258-9 역사의 거울인 문화, 그 문화유산을 발굴하고 보존·연구하기 위한 일념으로 김동휘(金東輝)관장이 우리나라에 전기가 들어오기 전까지, 옛 선조들의 생활을 밝혀주며 삶의 애화을 담아온 등잔들을 50년간 수집해 한곳에 모아 1997년 9월 28일 개관했다. 총 400여점을 소장하고 있는 박물관은 지하1층 지상4층 규모. 1층에는 '생활속의 등잔'이란 테마로 조상들이 쓰던 등잔이 4개실에 걸쳐 전시되고 있다. 2층의 제5전시실에는 시대별, 역사별, 자료별, 형태별로 전시되고 있으며, 제6실은 아름다운 등잔들과 일반인들의 소장품이 전시되어 있다. 또 지하의 상우당(尙友堂)에는 무대공연과 미술전시, 심포지엄 등을 열수 있는 다목적 문화공간도 갖추고 있다. [대중교통] 서울 양재역..
경기 김포시 대곶면 신안리 232-1 덕포진교육박물관은 대지 2,000평, 건물 260평에 전통문화 교육실, 이념 교육실, 청소년단체 교육실, 미래 교육실, 세계화 교육실, 향토애 교육실 등 6개 전시실이 갖춰져 있다. 이들 전시실에는 학교비품, 교과서, 교재도구를 비롯하여 전통가구와 농업박물관에 버금가는 농기구들 등이 모두 4,000여 점이 넘는다. 전시물들은 대개가 직접 사용하던 것들이라서 더욱 정이 가는데, 특히 작은 풍금 등은 향수를 불러 일으키기에 충분하다. 인근 덕포진은 역사 공부로 알맞은 곳이며, 청소년 캠프장 까지 갖추고 있어 단체 캠핑도 가능하다. [승용차] * 서울에서 강화방면 48번 국도를 타고, 김포읍을 지나 양곡방향 352번 지방도로로 5분쯤 달리다 좌회전하여 가다 보면 덕포진 청..
경기 용인시 기흥읍 상갈리 85 경기도의 역사와 고고, 미술, 민속자료가 전시되어 있다. 전시실 규모는 1,100여평. 자연사실, 고고미술실, 문헌자료실, 민속생활실, 서화실, 기증유물실 등 6개의 상설전시실이 있다. 기획전시실에는 해마다 2,3회에 걸쳐 유물, 유적을 선보이는 특별전시회가 열린다. 마당에서 펼쳐지는 야외전시장에는 백제 온돌 주거지를 비롯하여 14기의 전시물이 전시되어 있다. 원형극장, 놀이마당 등 다양한 놀이 문화를 즐길 수 있는 시설을 갖추었다. 박물관을 둘러보다 궁금한 것이 있으면 전시실별로 설치되어 있는 터치스크린을 보면 된다. 클릭하면서 자료를 검색하고 화상정보도 볼 수 있다. 소장품으로 국보 대방광불화엄경과 보물 천태사교의, 진언권공을 포함해 유물 3,500여점이 전시되어 있다..
전남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 82 해남 윤씨 종가에서 대대로 보관해 오던 유물로, 윤선도와 윤두서의 유물이 주를 이룬다. "금쇄동집고""산중신곡"등 윤선도가 쓴 가첩들과 인조와 볼임대군이 윤선도 집에 쌀과 포 등을 내리면서 보낸 사송장을 모아 첩으로 만든 "사은첩", 고려 공민왕 때 윤광전이 큰아들 윤단학에게 노비를 상속한다는 "지정 14년 노비문권", 윤두서의 작품을 모은"해남 윤씨 가전 고화첩", 윤두서가 그린 동국여지지도와 사진 복제품인"나물캐는 여인""말" "노승도"가 전시되어 있다. 그는 85세 한 평생 대부분을 유배와 낙향으로 산속이나 외딴 섬에서 보냈다. 해남군 현산면 금쇄동에 은거했을 때는 산중의 풍취와 자신의 회포를 그림 산중신곡 22수를 썼고, 완도군 보길도에 있을 때는 어부사시사 40수..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 산 81번지에 있는 국립박물관으로서, 충북지역 문화유산의 보존관리·조사연구·전시교육을 위해 건 립되었습니다. 87년 10월 30일 개관되었으며, 부지 19,225평, 건물 1,838평, 소장유물 8,600여 점의 규모입니다. 국립청주박물관은 충북지역에서 출토된 구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유물 2,300여 점을 4개의 전시실에 시대적 흐름에 따라 전시하여 전통문화를 널리 알리고 있습니다. [승용차] 청주시내 청주백화점 또는 남궁병원 앞 교차로에서 좌회전하여 상당산성,약수터방 면으로 계속 직진하면 명암 저수지를 지나 왼편 산비탈에 위치함 [대중교통] 버스: 고속버스 및 시외터미널에서 시내버 스 및 미니좌석버스 150번을 타면 박물관 앞 정류장 있음.
경남 진주시 남성동 169-17번지 국립진주박물관은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 169번지 사적 118호 진주성내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1980년 10월 기공식을 가진 뒤 1984년 11월 2일 우리나라에서 일곱 번째의 국립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1998년 1월 15일, 기존의 가야문화위주의 박물관에서 임진 왜란전문 역사박물관으로 재개관하였다 국립박물관중 최초의 전문역사박물관으로 새롭게 태어난 진주박물관은 종전의 지역적인 면모 가 강조된 가야박물관에서, 역사의 한 주제를 폭넓게 전시하는 전문박물관으로 특성화되었다. 진주는 임진왜란의 최대격전지인 진주성 전투가 있었던 곳으로 촉석루·쌍충사적비 등 많은 임진왜란 유적들이 남아있어 이러한 유적과 유물들의 과학적인 보존과 전시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바 ..
경남 김해시 부원동 623번지 1998년 7월 29일, 국립김해박물관은 고대국가의 하나인 가야(加耶)의 문화유산을 집대성하기 위해 개관되었습니다. 가야의 개국설화 (開國說話)가 깃든 김해시 구지봉(龜旨峰) 아래에 자리 잡은 국립김해박물관은 가야와 관련된 문화재를 집약 전시하고 있으며, 아울러 부산·경남지역의 신석기·청동기시대의 문화상과 가야의 성장기반이 된 변한(弁韓)의 문화유산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립김해박물관은 다른 국립박물관들과 달리 고고학 중심의 전문박물관으로 특성화되어 있습니다.전시실은 전시Ⅰ실·전시Ⅱ실·기 획전시실Ⅰ·기획전시실Ⅱ로 구성되어 있으며,정원에는 고대인들의 무덤을 옮겨 복원해 놓았습니다. [승용차] ● 남해고속도로→동김해IC→첫 신호등에서 좌회전→국도 14호선→김해시청→구 김..
서울 종로구 세종로 1-57 국립중앙박물관은 우리의 전통문화에 대한 다양한 장르의 영상자료와 전문도서를 보유하고 있다. 영상자료는 한국의 토기, 한국의 무 속구석기 유적발굴, 사물놀이등 총145종이며, 각종 전통문화에 대한 전문도서 26,000여권을 소장하고 있다. [시설규모] 부지면적 : 100,612m2 (30,435 평) 연 건 평 : 18,346m2 (5,550 평) 전시실수 : 18개 상설전시실, 2개 기획전시실 전시면적 : 6,984m2 (2,112 평) 강 당 : 275m2 (154 평) [도서실 안내] 동 양 서 : 20,869 권 서 양 서 : 2,842 권 논 문 : 2,280 권 총장서량 : 25,991 권 [대중교통] 3호선 경복궁역에서 걸어서 5분 광화문 세종로 일대 버스 정류소에..
서울 중구 충정로1가 서울 도심 한가운데 금빛 보리 물결이나 원두막을 볼 수 있는 곳. 우리 조상들의 농경 문화 발자취를 되새겨 볼 수 있는 장소다. [대중교통] 지하철 5호선 서대문역 하차 5번 출구
옛 궁궐인 경복궁 안에 있는 국내 유일의 전통생활사 박물관이다. 조선 왕조의 문화와 전통 민속생활 문화를 함께 접할 수 있다. 민속문화의 연구·수집· 보존과 문화교육 및 생활문화 전시로 전통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바탕으로 민족적 자긍심을 일깨울 수 있는 사회교육 현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건물의 전면 중앙은 조형성이 뛰어난 불국사의 청운교·백운교 형태를 본떠 만들었고 전면 가운데 보이는 5층탑 건물은 법주사 팔상전을, 동편 3층 건물은 금산사 미륵전을, 왼편의 2층 건물은 화엄사 각황전을 본떠 전통 건축양식을 재현했다. 문화교육·청사관리 등을 담당하는 관리과와 전시·기획을 담당하는 전시운영과, 민속문화의 연구·수집을 담당하는 민속연구과, 유물의 과학적 보존을 담당하는 유물과학과를 두어 전통민속 문화의 ..
부산 동래구 온천1동 산13-3번지 수영야류에서 본받은 탈놀음으로 약12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동래구 온천동 옛 놀이터를 근거로 전승되고 있다. 길놀이와 군무 등의 전편과 문둥이과장, 양반과장, 영노과장, 할미·영감과장의 4과장의 후편으로 구성되어 있고, 양반계급에 대한 반항과 풍자가 탈놀이의 주제로 되어 있다. 예능보유 종목은 원양반, 말뚝이, 할미, 가면제작, 악사가 있으며, 가면제작기능보유자로 천재동옹이 있다. 한국민속가면극의 명칭은 지방에 따라 다르게 불리는데, 경남은 오광대, 중부지방은 산대놀이, 황해도 지방에서는 탈춤, 부산에서는 들놀음이라고 한다. 동래야류는 오광대와 마찬가지로 해서(海西)의 탈춤, 중부지역의 산대놀이와 함께 한국 가면극의 3개 주류에 드는 가면극의 영남형으로 보고 ..
- 토속음식: 갓바위 푸른집 - Address: 대구 동구 진인동 123-62번지 - Tel: 053-982-0468, 053-984-9206 갓바위 석조여래좌상의 영엄함을 받으며 가족과 또는 연인끼리 산새를 즐기며 여유로운 한끼 식사를 할 수 있는 곳. 저희 푸른집은 한식전문 조리사 자격증을 갖춘 주방장의 정성으로 만들어진 맛갈스런 멋과 맛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 단체손님 예약시 봉고 운행 ※ 10명 이상일 경우 민박 가능(약 50,000원 정도) [대중교통] ※ 동대구역에서 일반 및 좌석버스 104번을 타고 종점에서 하차 ※ 동대구역에서 갓바위까지 택시를 이용시 15,000원 정도